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부처형 예비사회적기업의 성과측정 및 정책 지원방안에 관하여 고찰함에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통일형 사회적기업 지원 정책의 개선과 현재까지 지원을 수혜해 온 기업들의 성과를 측정하였다. 정책의 중요한 변화 시기 지원 대상이었던 기업의 진단 평가를 통해 향후 지원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라판단하고 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책이 고려해야 할 사항은 조정되어야 할 정책 도구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반드시 지원 예산이 증가하지 않더라도 정책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조정함에 목표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 대상 균형성과 측정 연구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통일형 사회적기업을진단할 수 있는 특화된 진단항목을 재조작하였다. 이를 통해 사례대상기업의 5개 영역 균형 성과를 진단하기로 한 것이다. 5개 영역은 사회적 관점, 재무적 관점, 이해관계자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분류하였다. 사례기업의 균형성과 측정을 통해 두 가지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일반기업이취약계층 고용 시 정책적 지원이 있음을 인지하고, 일자리 창출형 예비사회적기업에 지원한 경우는 사회적관점 및 학습 및 성장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등에서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사회적기업 과정에 있는 사례대상 기업들의 이해관계자 관점 지수가 공통적으로 현저히 낮음을 지적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사회적기업 인증 후 정책 지원 과정에서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인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주도적으로 사회적기업 간 네트워크 구축,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비영리기관과의 연계를 시행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정책적 고려가 있어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사례기업의 심층면접 과정에서도 응답자들이 정책상의 재정적 지원도 중요한 사항이지만, 이와 같은 연계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administrational prep social enterprise. This paper measures the outcomes of theprep social enterprises designated by Ministry of Unification. During a time ofsignificant change policy, the assessment should be reflected in future policysupport by performing a diagnostic evaluation. Even if it does not support thisbudget increase, the direction of the new policy is adjusted so that as the goal tomaximize policy effects, through the optional combination of policy instruments.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BSC(balanced scorecard), Ireframe the specialized evaluation items for prep social enterprise designated byMinistry of Unification. The two results were deduced through measurement ofthe cases. First of all, because of the political support, the corporate ask forpermission job creation oriented prep social enterprise in case the companyreceived low marks in societal, learning & growth, and internal processcategories. Secondly, the cases received significantly lower in stakeholder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