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세대 간 경제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국민이전계정(NTA)을 소개하고 한․미 실증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은 시장부문에서 노동소득이 가장 많은 연령이 미국에 비해 젊고, 노년층에서 노동소득 규모가 작았다. 시장부문에서 소비규모가 가장 큰 연령집단은 한국의 경우 중․고 학령기 연령층이지만 미국은 노년층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의 비시장부문의 규모는 모든 연령에서 미국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재배분에서는 한국의 경우 시장부문의 사적이전이 모든 연령에 걸쳐 미국에 비해 큰 것이 특징이었다. 이는 한국의 가족 부양부담이 미국에 비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장 및 비시장부문을 합산한 총경제에서 미국의 노년층은 자산 재배분에 의한 소득 규모가 크기 때문에, 국가 또는 가족에 대한 부양의존이 한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국민이전계정은 노후소득보장제도 수립 및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국민이전계정 통계는 국가 차원에서 정기적으로 조사․생산될 필요가 있다 하겠다.


In this study, as a methodology to understand generational economy, the National Transfer Accounts (NTA) was theoretically introduced, and comparison data between Korea and the U.S. was presen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population who produce the most market labor income are younger than those in the U.S., and the elderly in the U.S. had larger market labor income than those in Korea. In addition, non-market labor income was higher in the U.S. than in Korea for all age groups. Compared to Korea, in terms of old-age support system, the elderly in the U.S. have a lower reliance on the government or the family, as they have a large income scale through asset-based reallocation. The main implications found in this study is that it is need to produce NTA statistics at the national level. NTA might be utilized as base data establish and improve the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through measuring the generational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