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가 간 자료를 이용하여 이혼율, 정보통신 발전지수, 사회보장비지출, 세계화지수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소득수준의 차이, 산업구조의 변화, 출산율의 변화를 고려하여 비선형적 분석을 실시한다. 실증분석 결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이혼율, 정보통신 발전지수, 사회보장비지출, 세계화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비선형적 분석에서는 1인당 GDP가 높은 국가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에서는 이혼율, 세계화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출산율이 낮은 국가에서도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에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선형적 관계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Using a cross-section data,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soci- oeconomic factors to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FLP) focusing on divorce rate (DVR), index of technological progress (ITP), social and scurity expenditure (SSE) and overall index grobalization (OIG). Also, there is a non-liner analysis considering income level, structure of industry and fertility rate. The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there exist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 among FLP, DVR, ITP, SSE and OIG. In the result of non-liner analysis, these socioeconomic factors have positive relations to the FLP in the countries of higher GDP per capita. and DVR and OIG have positive relations to FLP in the countries of higher rate of service industry. Moreover, these socioeconomic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to FLP in the low fertility rate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can figure out that the FLP is positively related to socioeconomic factors to FLP and shows the existence of non-liner pattern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