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다미. 2006. 06. 30. 유표성과 L2 수량 분류사 습득. 이중언어학 31, 153-169. 본 논문은 L2 학습자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을 다룬다. 본 논문의 목적은 Hansen과 Chen(2001)의 주장처럼 수량 분류사의 습득이 보편적 습득 순서에 따라 이루어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만약 Hansen과 Chen의 주장처럼 수량 분류사 습득에 ‘Markedness Hierarchy’(Craig, 1988)가 적용된다면, 분류사는 생물>모양>기능의 의미자질을 가진 순서로 습득이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2학습자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을 검토하기 위해 88명의 L1영어-L2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해과제와 산출과제를 이용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L2한국어 학습자들은 L2중국어나 L2일본어 학습자와 달리 생물>모양>기능의 보편적 습득 순서를 따르지 않았다. 이들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은 Markedness Hierarchy 보다는 분류사의 빈도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