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몽골어를 사용하는 이중 언어 아동과 한국어를 단일어로 사용하는 초등 및 중학생 간의 보통명사 정의하기에 관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 고학년과 중학교 중에서 몽골 아동과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몽골 초등 및 중학생의 보통명사 정의하기 점수 차이는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학년 간 유의한 차이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의하기 유형에 따른 출현빈도와 출현율에 대한 차이는 x²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낱말 범주에 따른 출현율의 차이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 검정은 Turkey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 아동의 보통명사 정의하기 점수가 몽골 아동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의하기 점수는 몽골과 한국 모두 중등이 초등보다 더 높은 정의하기 점수를 나타냈다. 정의하기 유형에서는 기능적 유형과 물리적 유형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계적 유형에서는 몽골 초등이 다른 집단보다 두 배 가량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류적 유형의 경우, 몽골 초등과 한국 중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율이 높았다. 낱말 범주 간 출현율에서는 집단 간 모두 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중 언어 아동을 가르칠 때는 아동의 실생활에서 사물의 지각적인 속성을 개념화하고 다양한 의미적인 범주화를 구분하여 어휘를 습득하도록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중 언어 아동의 정의하기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어를 교육 시 어떤 유형에 중점을 두고 교육할 것인지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mmon noun definition between bilingual children using the Mongolian language and monolingual children using only the Korean langu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ngolian children and Korean children from high-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do, or Gangwon-do. Statistical analyses were made using SPSS 19.0. Differences in the score of common noun definition between Korean‐Mongoli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as test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between grades was determined through a one-way ANOVA. Differences in appearance frequency and appearance rate according to definition type was tested through x²‐test. Differences in appearance rate by word category among the groups was determined through one-way ANOVA, and Tukey’s test was used as a post-hoc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ore of common noun defin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subjects than in Mongolian subjects, and the score of definition was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oth Mongolian and Korean subjects. As to differences in appearance frequency and appearance rate among definition typ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functional type and physical type. The score of relational‐type definition was around twice higher in Mongolian elementary students than in the other group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core of categorical‐type defini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Mongolian elementary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s to difference in appearance rate by definition type among word categories, the mean appearance rate among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ceptualize the perceptual attributes of things in children’s daily life and to classify and present various semantic categories so that children may acquire vocabul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bilingual children’s word definition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which types of definitions should be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