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어휘능력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두 집단 간 전반적인 어휘과제 외에 품사별 어휘 정확도와 반응속도를 함께 비교하였다. 지능이 정상범주인 5~9세의 다문화가정 아동(n=30)과 3개월 이내로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가정 아동(n=30)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어휘 능력과 더불어, E-Prime을 이용한 품사별 정확도와 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어휘 능력에서는 표현어휘 정확도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품사별 정확도에서는 수용어휘에서는 명사이해 정확도에서, 표현어휘과제에서는 명사와 동사표현 정확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응속도 비교에서는 전반적인 수용, 표현어휘 과제의 반응속도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모든 품사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간의 어휘 능력 차이가 품사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암시하며, 반응속도에서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던 것은 정확도의 차이가 언어장애 아동들과는 달리 지각-운동 문제보다는 경험 등의 환경적 요인에 기인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take a closer look at accuracy and response time of vocabulary tasks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rty multi-cultural children and CA matched non-multicultural children, who have normal intelligence, attended to computerize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including three word classes (noun, verb, adjectiv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verall accuracy of expressive vocabulary tasks, but not in receptive tasks. Compared to non-multicultural childr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erformed significantly poorer in noun items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tasks. Verb accuracy, however, was significantly lower only in expressive tasks. None of the analyses of response latency reach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overall tasks and separate word class items, and the roles of perceptual-motor skills and language experience for processing speed observed in response time. Despite partly deteriorated accuracy, multicultural children have comparable processing speed, and this implies that they differ from the language-impaired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