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반 아동은 2세에서 5세 사이에 빠른 속도로 단어를 배워 나간다. 이러한 어휘습득 속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가설 중의 한 가지가 빠른 연결(fast-mapping)인데, 빠른 연결이란 아동이 새로운 단어에 대한 최소한의 노출만으로도 그 단어가 어떠한 대상을 지칭하는지 빠르게 찾아내어, 이를 해당 단어의 음운형태와 연합시켜내는 초기 낱말 이해 과정을 말한다. 이와는 달리 지적장애 아동들은 새로운 낱말을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며, 정신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에 비해 어휘량이 적다. 빠른 연결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는 자극 빈도, 시각적 단서, 음운적 단서, 의미적 단서, 새로운 어휘의 언어적 특징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동과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의미 단서에 따른 빠른 연결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연령이 4세 수준인 지적장애 아동과 정신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미단서 조건에 따른 빠른 연결과제를 실시하였으며 단서 없음, 형태 의미 단서, 기능 의미 단서 총 3가지 조건에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두 집단의 빠른 연결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은 각 의미 단서 조건에 따라 빠른 연결 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각 집단의 의미 단서에 따른 빠른 연결 능력은 단서 조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은 단서가 없을 때나 기능 의미 단서를 주었을 때보다 형태 의미 단서를 주었을 때 과제 수행 능력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단서가 없을 때보다 형태 의미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아동이 단어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인 학습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을 예측할 수 있다.


Normal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wo and five learn words rapidly. One hypothesis explaining this vocabulary acquisition speed is fast-mapping which means an understanding process of an initial word by finding out the subject a word points at least exposure and combining phonological code of the word. In contras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new words and therefore have smaller vocabularie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of the same mental age. In additio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ay have problems acquiring words due to a limit of necessary knowledge necessary for understanding linguistic contexts. Variables influencing fast-mapping are stimulation frequency, visual cues, phonological cues, semantic cues,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ew wor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fast-mapping according to semantic cue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including children with the mental age of four and normal children who coincided with the same mental age. The fast-mapping task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ree semantic cue conditions: no-cue, morphologic semantic cues, and functional semantic cues.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s. First, fast-mapping of the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t-mapping according to each semantic cue conditions while the condition without cues had the highest scores in the fast mapping task of normal children, and semantic cues and functional semantic cues had the highest scores of the group with mental retardation. Third, fast-mapping by each group’s semantic cu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ue conditions. Through these results, semantic cues were effective for fast-mapping, and fast-mapping showe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