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 3-4학년 ADHD 아동의 낱말재인 및 문단글 읽기 유창성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읽기는 학습의 기초로 학령기 아동에게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학령기 아동의 5.7%, 소아청소년의 13.25%가 ADHD를 보인다고 한다. 이에 학령기에 있는 ADHD 아동의 낱말재인 및 문단글 읽기 유창성 능력(분당 음절수, 오류 유형 수, 오류 유형별 비율)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3, 4학년인 ADHD 아동 15명, 일반 아동 15명으로 하였다. 낱말재인 평가와 문단글 읽기 유창성 평가(3-4학년용)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낱말재인 능력을 분석한 결과에서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문단글 읽기 유창성 능력(분당 음절수, 오류 유형 수, 오류 유형별 비율)을 분석한 결과에서 분당 음절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에서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오류 유형 수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이 나타났다. 집단 내의 오류 유형별 비율에서는 ADHD 집단에서 생략(37%), 반복(33%)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ADHD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낱말재인 능력의 발달이 더딜 수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고, 읽기 유창성 유형에서 생략이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ADHD 성향이 읽기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ADHD 아동의 읽기 능력 평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Reading is an essential communication skill. Especially to school age children, reading is greatly important in that it is used as a basic learning tool.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5.2% of school age children and 13.25% of young adolescents display the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s Hyperactivity Disorder(ADHD). Despite the high prevalence rate of the disord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ADHD. This research aims to study word recognition and fluency in paragraph reading (in terms of speed, accuracy, and errors: SPM, number and percentage of error patterns) of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15 children with ADHD and 15 normal children who are the third- and four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Sub-tests of Korea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were conducted to evaluate word recognition and paragraph reading fluency (only for third- and fourth-grade children) by measuring SPM, frequency of reading error, and type of reading error. The results show that ADHD children have lower performance in regard to sense and non-sense word recognition,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 reading,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 reading compared to normal children. Second, the research analyzes paragraph reading fluency capacity regarding number of syllables per minute, SPM, number of error types, and error type ratio. The total amount of time taken for paragraph read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comparing the number of syllables read precisely by the two groups, the ADHD children showed lower performance capacity than the normal children. Specifically, the ADHD children frequently showed omission errors while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repetition, substitution errors, and correction errors compared to the normal children. When it comes to analyzing the error type ratio of the two groups, omission errors (37%) and repetition errors (33%) were most frequently made by the ADHD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ADHD children, even with good vocabulary knowledge, could have more difficulty in word recognition and fluent reading in comparison to normal children. This study reveals that ADHD children's reading abilities need be monitored and assessed for their efficient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