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은 단어재인에 강점을 지니는 반면, 읽기이해력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에게 있어 읽기 능력은 학업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며, 언어재활사 또한 이들의 학업적 능력 증진을 위해 고민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 중재의 실태 및 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이들의 읽기 중재를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설문을 구성한 후 전문가로부터 타당성 검증을 거쳤다. 그 후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언어재활사 5인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 한 후 최종 설문을 완성하여 전국에 있는 153명의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중재하는 분야는 문해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읽기 하위 영역 중에서는 읽기 이해력을 많이 중재하고 있었다. 읽기 중재를 위한 교수전략으로 배경활성화에 대한 중재 및 어휘력 중재를 자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중재에 대한 인식에서 언어재활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중재를 위한 교수 지식을 묻는 항목에서 충분하지는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읽기는 텍스트로부터 의미를 얻는 것이라는 항목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언어재활사들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읽기이해력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re good at decoding, but have difficulties with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ability is essential fo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uture. SLP's also must consider how to help these students with their academic succes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SLPs can intervene in the students' reading and identify a proper reading intervention strategy which can be used to help SLPs teach ASDs how to read.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reviewed by experts. The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5 SLPs who work in Jeonnam province. The final survey was distributed to 153 SLPs nationwide. Results: SLPs taught literacy instruction mostly t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y also devoted much time on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SLPs focused primarily on teaching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and vocabulary.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y lack sufficient knowledge about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teach reading. They also showed positive recognition on questions suggesting that reading gets meaning from text. Conclusions: SLPs devote much effort to teach ASDs how to read and comprehend the text. However, these SLPs found it difficult to teach them how to 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