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철자 쓰기를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언어학적 지식과 전략이 필요하다. 3중 단어 구성 이론(triple word-form theory)은 아동의 초기 철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음운 지식, 형태소 지식, 철자 표기 지식의 세 가지를 중심으로 철자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철자쓰기력을 3중 단어 구성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철자 쓰기의 발달적 특성과 오류패턴을 살피고, 언어치료 임상현장에서 사용가능한 발달적 준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6학년 학생 총 659명을 대상으로 한국어읽기검사(KOLRA)의 30어절 받아쓰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는 형태소 친숙도가 고려되었으며, 자소-음소 일치 어절과 자소-음소 불일치 어절을 모두 포함하였다. 철자 오류는 3중 단어 구성 이론에 근거하여 자소-음소 일치 오류, 자소-음소 불일치 오류, 문법형태소 오류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체 쓰기 정확률, 오류 유형별 오류율, 오류 유형의 상대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결과: 어절로 본 전체 철자 쓰기 정확률은 초등 저학년 시기에 급격한 발달을 보였다(1학년 61%, 2학년 82%, 3학년 90%, 4학년 96%). 전 학년에 걸쳐 자소-음소 불일치 오류율이 가장 높았다. 세 가지 오류 유형의 상대적 분포는 초등 저학년 시기에 학년에 따라 변화하는 패턴을 보였다. 1-3학년 시기에 나타난 오류 중 자소-음소 일치 오류는 3학년에 크게 감소하였고, 문법형태소 오류는 3학년에 다시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철자 오류 패턴은 음운 지식의 확립으로 자소-음소 일치형 오류 비율이 감소하나, 문법형태소와 관련한 철자 오류 비율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즉 한국어 철자 발달은 음운 지식을 이용한 철자 학습이 철자 표기 및 형태소 지식을 이용한 철자 학습보다 먼저 완성된다는 것을 재확인하였고, 문법형태소 지식이 철자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3중 단어 구성 이론은 한국어에 응용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학습장애 아동의 유형을 고려한 구체적인 쓰기 발달 준거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Children develop their writing skills through morphemic knowledge, phonological knowledge, and orthographic knowledge. This study explored triple word-form theory for Korean Hangeul - which has a relatively transparent writing system with rich grammatical morphemes - and investigated developmental chang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Six hundred fifty nine children from Grades 1 to 6 participated in a 30 eojeol dictation task. Nine words and six sentences including various spelling rules were used, and writing errors were categorized as three types: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PGC),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PGNC), and morphological. Results: There were dramatic developmental changes in eojeol writing accuracy in young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61% for first grade, 82% for second grade, 90% for thrid grade, and 96% for fourth grade). PGNC errors were most frequent as in other alphabetic languages. There was a sharp decrease from first to second grades in writing errors. However, PGNC errors stil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second to third grades. Considering the relative percentage of all three types out of the total errors, there was an increase in morphological errors from second to third grades (from 18% to 34%), while orthographic errors showed a plateau pattern from second to third grades (from 33% to 31%). Conclusions: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y influenced developmental changes in eojeol writing. Morphological knowledge seem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among Korean children considering the relative grammatical error rates among first to third grades. Triple word-form theory seems to be successfully adopted to the Korean writing system.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detailed developmental criteria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