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심적자원을 평가하기 위해 간섭과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단순 간섭과제가 Engle 등의 작업기억 모델에서 제시한 실행주의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컴퓨터 토큰 검사, 숫자 역순 외우기, 선로 잇기 검사, Flanker 검사, Oddball 검사를 이용해서 피험자의 언어수행력, 작업기억력, 간섭과제에서의 수행력 점수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점수들은 Pearson 상관관계 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수행력 검사인 컴퓨터 토큰 검사 중 단기기억 요구수준이 높은 3 토큰 조건과 작업기억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1). 그 외 간섭과제나 낮은 단기기억을 요구하는 언어검사와 작업기억 검사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둘째, 간섭과제의 반응시간을 변환(불일치 항목의 반응시간 – 일치항목의 반응시간)하여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세 개의 간섭과제 중 Oddball 과제가 작업기억 과제와 관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2). 하지만, 나머지 두 과제, Flanker 과제와 선로잇기 과제에서는 작업기억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수행력과 작업기억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심적자원의 요구가 더 많은 3 토큰 검사와 작업기억과의 관계는 작업기억이 심적자원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임을 의미한다. 또한, 작업기억의 핵심요소인 실행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단순 간섭과제를 사용하는 것은 정확한 실행주의력을 평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행주의력의 두 특성인 목적유지와 문제해결을 포함하는 실험설계가 필수적이다.


Purpose: Interference tasks are used to examine mental resources in cognitive science. Recently, executive attention has been studied due to the explanation of working mem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interference tasks have a representation to measure the executive attention of working memory. To achieve this, the relationship among working memory, language performance, and interference tasks was examined. Methods: Fifty-nine young normal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backward digit span, computerized token test, Trail Making Test, Flanker Test, and Oddball Test.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among working memory, language performance, and interference tasks, a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ackward digit span and computerized token test with high demand of short-term memory (p=0.011).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ny of the others. Second, when the transformed data (incongruent respond time- congruent respond time) were used, there w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and the Oddball Test, while in the others there was no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performance and working memory under high demand of short-term memory. This indicated that a working memory test can be used as a test method to measure one's mental resources. 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executive attention - a core component of working memory - a simple interference test is insufficient to represent executive attention. Therefore, a test to measure the executive attention should include the two characteristics of the executive attention: goal maintenance and conflict re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