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사업을 이용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언어교육 종결 후 교육효과가 지속되는지, 가정뿐 아니라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에서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의 변화가 있는지, 또한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심층면담 참여자는 전국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을 통해 언어촉진 교육을 받고 종결된 아동의 부모, 조모, 교사, 다문화 언어발달지도사 등 총 28명으로 구성하였다. 심층면담을 실시하기 전에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한 후, 선정된 대상자를 상대로 2014년 10월 30일부터 11월 15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실시 후 10일 이내에 전사한 면담내용을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심층면담 결과 ‘언어발달지원의 필요성’, ‘언어발달지원사업의 효과’, ‘서비스 종결 후 남는 문제들’, ‘후속조치에 대한 요구’ 등 네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분류된 네 개의 주제는 9개의 상위범주와 각 상위범주에 대한 23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 각 범주에 대한 해당 사례를 중심으로 결과를 기술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언어발달지원 서비스를 받고 정상발달로 종결된 아동의 경우 언어 및 학습 능력이 대체로 유지되고 있었다. 둘째, 일상적인 의사소통 수준에서의 대화 능력에서는 어려움이 없는 아동이어도 경험과 관련된 이야기 능력이나 읽기 쓰기 능력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들이 있었다. 셋째, 언어발달지원 서비스가 종결되어도 언어발달기에 있는 다문화가족 자녀들, 특히 정상발달로 종결되지 않은 아동의 경우 지속적 지원 및 추적관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결론: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 사업의 효과와 지속적인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면담 참여자의 견해를 정리하고, 다양한 지원체계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지속적인 추적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language facilitation in terms of maintenance after active education in various social contexts and possible areas for extended support for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Korea. Method: Twenty-eight adults including parents, grandmothers, teachers, and language facilitators participated in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Conversational data were transcribed within 10 days after the interviews and were cod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Four themes were extracted: necessity of language facilitation, positive effects of language facilitation, sustaining problems after the service period, and the need for continuing service. In general, facilitating the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eemed to be effective for their social adaptation and meaningful to trigger the support system. However, language and communication facilitating services need to be sustained and extended to various social contexts considering a child's developmental pattern: full adaptation, transition from basic communication to academic language, sustained language and academic support, and transition to other professional service.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ho received language facilitation services and thereby maintained normal development usually maintained language and learning abilities. Second, some children had difficulties with narrative skills or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ough without communication problems. Third, even after language facilitation service, the importance of sustained support and follow-up for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the critical stages of development is emphasized, especially for children with language problems after the service period. Conclusion: Language fac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emed to be very effective and follow up service exploiting various support systems and further research on follow up service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