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 다문화가정이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 수준이 낮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아동의 문식성은 인지 언어적 요인의 발달과 높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과 언어 인지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낮은 문식능력은 어머니가 제공하는 문식환경이 문식성 발달에 충분치 않기 때문일 수 있으며, 또한 사회경제적 수준의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식환경과 사회경제적 환경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비교집단을 도시와 농촌가정으로 구분하여, 다문화가정과 농촌 및 도시아동의 한글 문식성 및 인지 언어적 기술 발달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만 4세와 5세 다문화가정 아동 95명, 생활연령이 동일한 농촌아동 95명 및 도시아동 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가정과 도시 및 농촌아동의 한글 문식성을 측정하기 위해 단어읽기와 받아쓰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음운인식, 형태소인식, 숫자명명, 시지각 등의 인지 언어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 어머니의 국적은 필리핀, 베트남, 중국, 우즈베키스탄, 태국, 몽고, 일본, 캄보디아였으며,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은 평균 7.7년(범위: 2~12년)이었다. 결과: 연구결과, 4세 아동의 경우, 도시아동이 농촌아동과 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문식성, 음운인식, 형태소인식 수행수준이 높은 반면, 5세 아동의 경우에는 도시와 농촌아동 간 차이가 없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행만 유의미하게 저조했다. 또한 숫자명명과 시지각 능력의 차이는 그룹 간 차이가 없거나 4세 아동에서만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서 문식성, 음운인식, 형태소인식의 발달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지만, 숫자명명과 시지각 능력은 다르지 않았다. 이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은 숫자명명과 시지각 결손을 보이는 읽기부진 아동의 특성과 다르며,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문식성 교육 외에 풍부한 언어환경과 적극적인 언어적 상호작용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early 90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hildren from single-culture families. Previous research explained that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mutual interaction by reading influenced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Korean literacy among children from (1) multicultural families, (2) rural, and (3) urban communities. We also compared cognitive linguistic skills becau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cognitive linguistic skills. Methods: Children were tested in reading and writing and cognitive-linguistic tasks including phonological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rapid naming, and visual perception. The participants included 288 preschool children aged 4 and 5 (95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95 from rural communities, and 98 from urban communiti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urban 4-year-old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word reading and writ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than rural childr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ve-year-old children from urban and rural communities performed better in word reading and writ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than thos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apid naming and visual perception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In conclusi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inferior performances compared to urban and rural children particularly in the skills of literacy and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awareness but not in rapid naming and visual perception skills. It is suggested that children from muticultural families may need a proficient language environment and active interactions with adults in addition to literac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