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야기는 아동의 어휘 습득뿐만 아니라 낱말 조합이나 결속표지 발달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아동의 이야기 평가는 아동의 언어 평가에서 중요한 항목이다. 그러나 기존의 이야기 평가척도들은 이야기 문법, 결속표지 각각 한 가지 기준으로만 제작되거나 서로 점수체계가 달라 각각의 하위 영역 간 비교가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의 이야기 능력 평가 시 내용구성 능력과 구문표현 능력의 일관성 있는 점수체계를 통해 두 가지 능력을 쉽게 비교해 볼 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 5, 6세 일반아동 각각 10명씩 총 30명을 대상으로 그네 이야기와 공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평가척도는 이야기 분석기준인 내용구성 척도와 구문표현 척도로 나누어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이야기 내용구성 척도와 구문표현 척도의 연령별 차이 유무와 기존의 이야기 평가 방법인 KONA(Korean Narrative Assessment)의 이야기 문법평가 및 문법지표와의 관련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내용구성 척도 점수는 6세가 4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내용구성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KONA의 이야기 문법평가 점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에 따른 구문표현 척도 점수도 6세가 4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구문표현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T unit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 구문의미이해 수행력이 좋을수록 공 이야기 내용구성 척도 점수가 더 높았고 수용 및 표현 어휘 수행력이 높을수록 내용구성 척도와 구문표현 척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야기 평가척도는 KONA의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다른 결속표지 하부 유형을 함께 반영함으로써 분석기준의 범위를 넓혔으며, KONA와도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평가척도는 평가시간 안에 아동의 이야기 능력을 표준화 할 수 있으며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연구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평가척도는 학령전기(4~6세) 아동의 이야기 산출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척도임을 시사해준다.


Story telling influences children's vocabulary combination or cohesive marker development as well as vocabulary acquirement. Thus, children's story telling evaluation is an important item for children's language evaluation. However, the existing story telling evaluation standards are produced as a standard either of the story telling grammar or of the cohesive marker, and their scoring syste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king comparisons of the lower levels difficult. Thus, in this study, I intended to develop evaluation standards to compare the two abilities through a consistent scoring system of content composition ability and sentence expression ability in preschool children's story telling ability evaluation. For this, with a total of 30, 4-6 year-old normally-developing children as the subjects, 3 groups of 10 each, I implemented the task of retelling the swing story and the ball story. The evaluation standard was produced and divided into two: story telling analysis standard—the content composition standard and the sentence expression standard. I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per age in the story telling content composition standard and the sentence expression standard produced in this study, and the relationship with KONA(Korean Narrative Assessment)'s story telling grammar evaluation and grammar goal, which is the existing story telling evaluation method. The study yeild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in that the 6-year-old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4-year-old group in the standard scores of the content composition per age. Also, the higher content composition standard scores, the higher the KONA story telling grammar evaluation scor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6-year-old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4-year-old group in the sentence expression standard scores per age as well. As per the higher sentence expression standard scores, the higher T unit number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As per the better sentence performance ability, the higher the ball story telling contents composition standard scores; and as per the higher the receiving and expression vocabulary performance ability, the higher the contents composition standard and the sentence expression standard scor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In conclusion, the story telling evaluation standard produc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NA's analysis standard, broadening the range of the analysis standard by reflecting the other lower cohesive marker types together, showing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KONA. Thus, the evaluation standard in this study can standardize children's story telling ability within the evaluation time, as well as using it in practice and utilizing it as the objective study data. In other words, this evaluation standard is a meaningful standard with which one can evaluate preschool children's story telling calculation cap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