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일어난 1895년 전기의병에 이어 1904년 러일전쟁을 계기로 재기한 이래 의병들의 항일투쟁은 이후 10여 연간 지속되었다. 이러한 의병투쟁은 일본의 침략에 대한 항전이라는 측면에서 공통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한말 의병운동의 전 기간 중에서도 일본군과의 본격적인 전투가 이루어져 많은 의병 희생자가 발생한 시기는 러일전쟁 이후의 후기의병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07년 8월 군대 해산 이후 일본군에 의한 집중적인 의병 학살이 진행되었다. 이 글은 기존의 연구 성과에 바탕을 두면서 일본군의 의병 학살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던 러일전쟁 이후 일본군대의 의병 진압과 이에 대응한 의병세력의 전략·전술적 변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의병 연구자들이 활용해왔던 일본 측 자료 외에 일본 방위성방위연구소 소장의 『千代田史料』 에 포함된 한국주차군사령부의 보고 문건, 『보병제14연대 진중일지』 (이하 『진중일지』 로 약칭함) 등 일본군 측 자료와 호남의병장 전해산이 기록한 『전해산진중일기』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을 계기로 일본은 한반도에 대한 군사적 침략을 감행하였다. 그것은 종전에 개항장을 중심으로 한 국부적인 군대 파견과는 달리 한반도에 대한 상시적이고 전면적인 군사적 지배의 실행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일본군보다는 오히려 관군을 주된 상대로 하여 싸워야 했던 전기의병 때와는 달리 러일전쟁 이후의 의병세력은 이제 일본군과의 전면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러일전쟁 직후 한반도에 이른바 ‘한국주차군’을 설치한 일제는 주차사단과 여단 규모의 임시 파견 병력을 중심으로 전국 요지에 수비대를 주둔시켜 지속적인 의병‘토벌’을 감행하였다. 특히 일본군은 1907년 7월 하순 본국으로부터 1개 여단 병력 규모의 수비대 병력을 증파하여 군대해산 이후 해산군과 의병세력의 섬멸을 준비하였다. 그리하여 동년 8월부터 해산군과 의병들의 항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한반도 중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폭도 토벌’을 위한 대규모 군사작전을 계획하고, 경기·강원→충청·경북→경남→전남·전북 등 한반도 중·남부지역을 시계방향으로 돌며 해산군과 의병에 대한 집중적인 ‘토벌’을 감행하였다. 함남 등 북부지역에서도 군사적 의병 ‘토벌’이 행해졌으나, 전반적으로 군사력을 집중시킨 것은 중부와 남부지역이었다. 그만큼 중부와 남부지역에서의 의병세력의 저항이 강력하였고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 큰 위협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의병세력은 군대해산 이후 약 1년간 일본군의 집중적인 공격으로 많은 희생을 치렀다. 이 시기 일본군에 학살된 의병 수는 일제의 공식통계상으로 12,592명에 이른다. 현대식 병기로 무장한 일본군의 월등한 화력, 치밀한 정보전, 철도 등을 이용한 빠른 기동력 등이 주요한 원인이었지만, 이러한 일본군에 대해서 수적 우세로만 일거에 승산을 보려 했던 의병들의 전략·전술적 한계도 대량학살을 막지 못한 이유로 설명될 수 있다. 의병들의 이러한 전략·전술적 한계는 일본군의 공세에 밀린 해산군인들이 호남지역 등의 토착의병세력과 결합하면서 어느 정도 극복되고 갔다. 의병들은 일본군과의 대규모 군사적 충돌을 피하는 대신 유격전을 강화하고, 지역주민과의 유대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군수를 확보하여 사실상 근거지를 마련하는 한편, 정보력의 강화를 통해 적의 예봉을 피하는 등 새로운 전술을 강화하면서 의병전쟁을 장기전화 하였다. 비록 큰 성과는 없었으나, 양총 등 현대식 무기의 확보에 노력하였으며, 해산군의 지도로 병사에게 근대적 군사 훈련을 실시하였다. 군대해산 이후 호남의병의 저항이 2년 이상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군사적 토벌이 큰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은 의병부대 내의 이러한 전술상의 진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일본군 보병제14연대만으로는 호남의병을 진압할 수 없다고 판단한 일제는 1909년 6월 1개 여단 규모의 ‘한국임시파견대’를 본국으로부터 불러들여 동년 9월과 10월 약 2개월에 걸친 이른바 ‘남한대토벌’을 단행하여 호남지역 의병세력의 진멸을 꾀하였다. 이는 그동안 일본군의 집요한 공격에 대한 의병들의 저항 전술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일본군의 ‘남한대토벌’로 호남지역 의병세력이 사실상 무력화되면서 의병세력의 항일무장투쟁은 점차 퇴조기로 접어들게 되었다. 1910년대 들어서 황해도 등지에서 의병들의 의미 있는 항쟁이 일시 계속되었으나, 이후 많은 의병세력이 해외로 망명함으로써 국내에서의 의병항쟁은 점차 해외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으로 계승 전환되어갔다.


The ‘Righteous army’(義兵) uprised at the first time in 1895 against the Japanese infringement of Korean sovereignty, ‘the murder of Korean Queen’, and ‘the Royal decree’, ‘the Order of Cutting Hair’. It uprised again in 1904 against the Japanese violation of Korean territory before an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nd Its anti-Japanese struggle continued about 10 years in Korean Peninsular since then. Many Righteous Army soldiers including patriotic militia were slaughtered by Japanese troops especially since the compulsory winding-up of the Korean Empire army in August, 1907. This writing is aimed to comprehensively reconstruct the strategy and tactics of the Righteous troops against Japanese assaults and suppress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Honam province after the compulsory winding-up of the Korean Empire army. Here we are analysed the various materials which is possess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Defence Studies, Ministry of Defence including ‘the Camp Journal of the 14th Infantry’, the documents of Japanese stationary troops HQ in Korea, and ‘the Jeon Hae-san’s diary’ during the war, so-called ‘the Righteous Army War’. The station of Japanese army in Korean peninsular since the Russo-Japanese War meaned the all-side military domin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over Korean people. Therefore, the clash of both the militia supported by Korean people and Japanese stationary troops was not avoidable. The Japanese government dispatched military forces of a brigade including the 14th infantry regiment to Korea in July, 1907 which were placed in th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peninsular in order to suppress the ‘local militia’. The Japanese garrisons in Korea continued to exercise the big military operations to suppress and slaughter them in the middle and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since August, 1907. They operated against the militia including the dispersed Korean soldiers in serial order clockwisely first in Kyonggi & Kangwon provinces, second in north Chungchong & north Kyoungsang provinces, third in south Kyoungsang province, and last in Honam(Jeolla) province. They operated partly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 ‘Hamkyoung’ province, but importantly concentrated upon the entire suppression over the militia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y considersd the southern militia as the obstacles of the colonial domination over Korean peninsular by Japanese imperialism. A large number of Korean people including the militia of ‘the Righteous Army’ were slaughtered for the first one year since the compulsory winding-up of the Korean Empire army in August, 1907. The total number of the slaughtered militia is 12,597 persons, which was recorded in the remained document of the Japanese stationary army in Korea. The factors of the victory of Japanese troops were their modern weapons, the better-informed system and intelligence activities, the better transportation system like the railroad. But the wrong strategies or tactics of the ‘righteous militia’ also was one of the reasons their great defeat. The Honam militia who realized the limit of the earlier strategy and tactics of the militia tried to find out the new way for a long time resistance. The compulsorily dispersed soldiers joined the local militia in Honam province. They avoided the large encounters with the Japanese troops, and developed the guerilla attacks. They tried to collect the miliary supplies through the cooperative ties with the local residents, and obtained the relatively safe base camp with their assistances. They also promoted the information gathering against the enemies. They tried to obtain the modern & better developed weapons by all means, and were train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ex-soldiers of the Korea Empire. Honam militia resisted for two years in spite of the strong and non-stop suppression of Japanese troops. After all, Japanese government decided to dispatch the infantry brigade from Japan to Honam province, Korea in May, 1909 in order to suppress entirely the Honam militia, and planed a finely worked-out, so-called ‘the great operation for Honam suppression’ in September & October, 1909. Finally the Honam mlitia were suppressed. That meaned the downturn of the Righteous Army War as one of Korean nationalist movements since the Russo-Japanese War. But the Righteous Army succeed to the struggle of the Korean independent Army against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efore August 15, in 1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