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19년 유림들이 국가와 민족의 독립에 대한 의지를 대내외에 표명했던 파리장서운동 중 호남지역 유림들의 동향과 의의를 살펴본 것이다. 19세기 후반 호남 지역은 노사 기정진, 간재 전우, 연재 송병선, 면암 최익현 등의 노론계열을 비롯해서 면우 곽종석 등 남인계열 등 다양한 학맥이 혼재해 있었다. 이들은 1902년 이후 노사학설을 둘러싸고 학맥간의 대립이 격심하였으며, 시국에 대한 대처방식에도 차이를 노정하여 간재 전우, 연재 송병선 학맥 등은 도학을 중시하는 자정운동에 들어갔고, 노사학맥이나 면암 학맥은 국권침탈에 맞서 의병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들도 1910년대에 독립의군부 활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정운동에 들어갔다. 1919년 3·1운동 당시 호남유림들의 전체적인 성향은 이러한 자정 분위기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고종이 승하하자 호남유림들은 곳곳에서 망곡례를 행하였고, 고종의 인산에 참가하기 위해 다수 상경하였다. 상경한 호남유림들은 고종의 3년상과 순종의 복위를 주장하였고, 9명 정도의 소수의 인원만이 독립을 청원하는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하였다. 당시 호남지역 유림들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던 간재 전우학맥이나 후석 오준선 등의 노사학맥 등이 자정운동을 고집함에 따라 호남지역 유림들의 참여가 저조하였던 것이다. 대한독립의군부 활동에 참여하였던 면암 최익현 문인을 중심으로 소수의 연재·노사·면우 학맥의 문인이 서명에 참여하였던 것이다. 다만, 적은 수이기는 하지만, 학맥과 당파를 초월하여 서명이 이루어졌다는 점, 파리장서운동 이후 일부 호남 유림들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자금을 모집하거나 사회주의에 기울어지는 등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났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attitude of confucian scholars in Honam province and its meaning in movement for long petition delivery to Paris, through which confucian scholars internally and externally expressed a will for the independence of state and nation in 1919. Various school ties such as Myunwoo Jongseok Gwak in Namin faction including Nosa Jeongjin Ki, Ganjae Woo Jeon, Yeonjae Byeongseon Song, and Myunam Ikhyun Choi in Noron faction coexisted in Honam province in the late 19th century. Among these school ties, Ganjae Woo Jeon, Yeonjae Byeongseon Song, and the like began Jajeong movement early, and most of Nosa school ties and Myunam school ties that led an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lso began Jajeong movement in the 1910s. It was not possible for the overall inclination of Honam confucian scholars to get out of this Jajeong atmosphere at a time of March 1 Pro-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As King Gojong demised, Honam confucian scholars held Manggokrye in many places. And they came up to the capital in order to participate in Insan of King Gojong. Some Honam confucian scholars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for long petition delivery to Paris, which made a petition for the independence of state and nation besides 3-year mourning for King Gojong and the restoration of King Sunjong. Only 9 persons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in Honam province for long petition delivery to Paris, as Huseok Junseon Oh, Nosa school ties, or Ganjae Woo Jeon, and the like who were highly influential at that time insisted upon Jajeong movement. With followers of Myunam Ikhyun Choi who had participated in Korea Independence Militia movement at the center, followers having Yeonjae, Nosa, and Myunwoo school ties combined and signed their name. However, it is thought to be considerably significant in that they signed their name, transcending above school ties and faction, and many changes took place, such as raising war funds for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or leaning toward socialism after the movement for long petition delivery to P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