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012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시행된 여성가족패널 4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4차 자료의 기존응답자 설문대상자들 중 현재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기혼여성이면서 직장임금근로자인 1,480명의 응답 자료를 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72.1%가 40대 이상의 연령층에 속했고, 62.4%는 고졸이하의 학력이었고, 현재 건강상태는 58.7%가 건강하다고 응답했다. 이들의 정신건강 수준은 전체평균 3.01로 높게 나타났다.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가정요인과 직장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각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모든 변인과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가치관(r=-.218)과 직장내 차별(r=-.169)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위계적 모델을 구성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형별로 설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R2가 .056에서 .164 그리고 .198로 변화).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건강과 가족가치관, 직장내차별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건강할수록 정신건강이 좋았고, 현대적 가족가치관을 지닐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낮았고, 직장내 차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정신건강 수준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한 결론은 기혼여성에게 있어서 가정과 직장의 양립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에 안정되고 안전한 일자리를 창출하여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혼직장 여성의 건강을 보장하기 위해 직장과 지역사회의 자원을 연계한 질병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가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홍보와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장내 차별에 대한 대처 방안을 제시하였다.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mental health of married career women,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4th Korean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hich was perform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in 2012. In the data of the 4th survey, the answers of 1,497 women who get married and work for pay were used for the study analysis. As a result, 72.1% of the study subjects were in their 40s and more; 62.4%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lower; 58.7% replied that they were in good health conditions. The average value of their mental health was high, or 3.01.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were correlations with all variables. In particular, family value(r=-.218)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crimination at work(r=-.169). To find causal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hierarchical model was design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continuously influential factors were health, family value, and discrimination at work. In other words, the healthier they were and the more modernized their family value was, the lower their mental health. And,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t work led to lowering their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family and career of married women positively influenced their mental health. These results show that people who have good Mental Health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are satisfied Married Life and are satisfied Workplace Conditions, are higher Mental Health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people who have difficulty by Conservative Family Values​​, Child Distress, Parental Conflict, is vulnerable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