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육부가 주도적으로 창업교육정책을 실시한 결과, 대학의 창업교육 및 창업문화는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생창업자(사업자등록자)등의 배출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자립이 가능한 학생창업자들의 비율은 그리 높지만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자립이 가능한 학생창업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여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학생창업자들은 자립이 가능한 대학의 지원체계가 미흡하고, 창업이후 지원체계의 연계성과 기업경영전략의 부재, 성과중심 창업지원, 전문가 멘토링 미흡 등의 문제로 자립화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생창업 자립화 방안으로 대학의 체계적인 자립화 지원체계 구축과 이에 부합하는 전문가 확보 및 창업이후를 대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개발, 학생창업자에 대한 사회인식의 변화 등이 제시되었다. 대학이 지속적으로 자립화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연계 프로그램 등을 개발한다면 자립이 가능한 청년창업가들이 배출되어 정부가 목표로 하는 창조경제실현과 고용창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The startup education policies, which have been led by Ministry of Education, have helped the startup education and culture settle down on the college campus to certain degree and increased the number of student entrepreneurs(business registrants). The percentage of self-supportable student entrepreneurs is, however, not very high. This study thus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on self-supportable student startup and analyzed it with the Grounded Theory, then presenting the resulting paradigm. As a result, most student entrepreneurs were not actively self-supportive due to the poor self-supportable support system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bsence of connectivity between the support systems and corporate management strategies after establishing a business, performance-centric startup supports, and lack of mentoring from experts. The study thus proposed such self-support plans for student startup as establishing a systematic self-supportive support system in college, recruiting qualified experts,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o prepare for the stages after business foundation, and changing the social perceptions of student entrepreneurs. If colleges and universities keep building a self-supportive support system and developing connected programs, they will be able to produce young self-supportable entrepreneurs and contribute to creative economy and job creations sought after by the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