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기도 31개 시군의 과학기술역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지도화하여 시사점을 도출한 뒤 지역별로 역량에 맞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비교적 객관적인 분석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COSTII, R-COSTII와 그 논리적 맥락을 같이하여 혁신자원의 투입에서 성과에 이르는 전 과정을 혁신자원, 혁신활동, 혁신과정, 혁신환경, 혁신성과 등의 5개 부문으로 구조화한 G-COSTII 지표를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경기도 내 31개 시군에 대한 기초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분석의 종합결과를 지도화하면 지역별 또는 권역별로 과학기술역량의 차이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기 남·북부 간에 과학기술역량의 차이를 보이는데 구체적으로 역량이 높은 기초지차체는 주로 경기도 남부, 경부권과 서해안권에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부권은 혁신자원 및 혁신환경이 우수하며 서해안권이 활발한 혁신활동과 혁신과정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세부지역별 혹은 권역별 맞춤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do an analytical approach of Science and Technology (S&T) Capacity, which can be applied to 31 lower level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 map its result, provide implications, and then proper policy directions that matches the capability of each region. In order to analyze each region, G-COSTII is developed because it is in the logical line with COSTII and R-COSTII from innovation resources, activities, processes, and environments to innovation outcomes. This paper has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that S&T capacities are different by regions and areas; South regions, especially Gyeongbu and Sehaean areas show high qualities of S&T capabilities. Gyeongbu area includes high qualities of innovation resources and environments while Sehaean areas contain active innovation activities and proces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gion-based or zonal-based policy to each lower local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