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한 양국어의 수동표현의 상관관계를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 어떤 표현으로 나타나는지를 일본어 소설류의 대한번역본을 자료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일본어 수동표현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의한국어의 주된 표현은 동사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는데, 특히, 일본어의「언어활동동사」「やりもらい동사」「권유, 요구동사」의 수동표현은 한국어의 대응하는 동사(対の関係にある동사)의 능동표현 또는 다른 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일본어의 사역적타동사수동문 및 사역수동문인경우에는 한국어의 피해성을 나타내는 여러 형식의 능동문으로 나타난다. 또한 일본어의「존재․유무와 관계있는 동사」「타동성이 약한 동사」의 수동문은 한국어의 자․타동사 능동문이나 다른 표현으로 나타나며, 일본어 자동사에 의한 간접수동문도 한국어의 능동문과 대응되는 대표적인 경우가 된다. 이에 반하여, 한국어수동문에 대응하는 일본어 비수동문으로서는, 자동사능동문이 가장 많으며, 타동사능동문,무대응문의 순으로 되어있다. 자동사능동문에 대응하는 경우의 일본어는 형태상, 자타대립을 이루고 있는 타동사를 가진 자동사가대표적인 것이며, 타동사능동문과 대응하는 경우는「타동사+てある문」「자타대립을 이루는 타동사문」이 많으며,「~てもらう문」「존재․유무문」「완성문」의 의미를 갖고 있는 문은 전혀 대응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