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향의 관계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적은 한국 문화를 세가지 유형(드라마, 음식, K-pop)으로 분류하여 이들 문화별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의 제품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문화 후광효과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크게 세 개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문화적 거리감과 심리적 거리감)이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다. 둘째,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 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직접적인 문화후광효과를 규명한다. 셋째,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를 통해 한국 제품의 구매의향에 간접적 방식으로 문화후광효과를 야기하는지를 규명한다. 분석 결과,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과 문화적 거리감이 문화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심리적 거리감은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 및 국가이미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것에 비해 문화적 거리감에서는 자국중심주의가 드라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세계시민주의는 음식에 대한 태도와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 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음식에 대한 태도와 K-pop에 대한 태도는 한국 제품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드라마에 대한 태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문화 태도와 제품 구매의향간의 매개역할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음식, K-pop, 드라마에 대한 태도 중에서 음식에 대한 태도와 제품 구매의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 구매의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통한 문화후광효과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문화의 유형에 따라서 문화후광효과가 제품의 구매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국가이미지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경로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concept of cultural halo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s Korean culture classified into drama, food, and K-Pop on national image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the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seeks to substantiate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image. Second, it verifie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as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us creating 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ird, it confirms whether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affects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Korea’s national image, thus creating indirect cultural halo effect. The result suggests that Chinese consumers’ cultur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ance had different impact on attitude toward culture and national image. Psychologic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s Korean food, K-pop, and drama and national image, whereas ethnocentricism, which operationally defined cultural distance,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drama, while cosmopolitanism had impact on attitude toward food and national image. Also, attitudes toward Korean food and K-pop were found to affect product purchase intention, but not Korean drama. Finally, the national imag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Korean food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result confirmed the presence of halo effects based on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impact of culture, national imag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ces due to the kind of national culture in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culture-specific halo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