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저출산 시대를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소규모 집단인 가정의 측면에서, 가정의 해체와 재혼에서의 출산문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우리나라는 재혼자의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양적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통계청의 혼인 및 이혼통계와 전국 출산력조사 데이터를 통해 그 관련성의 일부만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15~49세 가임기여성의 재혼자 수는 초혼을 포함해서 전체 혼인자의 13.4%에 불과했다. 재혼한 여성은 이혼의 경험을 안고 있어 생애에서 중요한 변화를 겪었으며, 초혼에서부터 재혼하기까지의 기간으로 인해 초혼연령보다 평균연령이 더 높아 고위험산모가 될 가능성뿐만 아니라 산전‧산후우울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추가예정 자녀 수는 1명 이상으로 초혼인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저출산시대에 산모 및 출생아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재혼 여성과 같이 복합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대상자들에 대한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서비스 문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irth of remarriage after divorce in the most small groups at the same time that the foundation of the society. There are not so much in Korea that the study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fter remarriage. Therefore, It was used for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and national fertility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birth after remarriage. The number of 15-49 year-old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no more than 13.4% of the total marriage including first marriage. A remarried woman experienced divorce and suffered from a major change in her life, so she is likely to be a high-risk pregnant women due to between first marriage and second marriage. In addition, there are also possibilities of prenatal postpartum depression. However, the number of additional children in the future is not less than compared with the case of first marriage. Therefore, it is needed fragmented and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subjects in a poor situation such as remarried women to be health for mothers and newborns in low-fertilit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