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1세기에 들어선 이후 영화산업을 포함한 문화산업이 국가경제를 선도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세계 각국은 주도권 확보를 위해 문화산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정책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중국의 영화산업은 성장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산업 연관효과도 비교적 높으면서 잠재력 또한 크기 때문에 중국 정부의 육성 의지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 영화산업의 양적 성장은 꾸준히 진행되었으나, 질적인 면에서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질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은 영화 제작, 촬영 등과 관련한 기술 수준이 높은 국제영화계와의 협력에 적극적이다. 한국 영화산업은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기 때문에 중국등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새로운 성장기회를 찾아야 한다. 중국 문화원형 활용 강화, 기획 프로덕션 사업, 특수촬영 교육, 법률 및 경영 컨설팅 지원 등과 함께 한국의 앞선 ICT 기술에 기반한 미래 지향적 한중 영화산업 협력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Entering 21st century, many countries try to develop culture industry to find new path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Film industry has already become one of the leading industries of China in terms of growth potential, growth rate and its spill-over-effect on the national economy. Chinese government is strongly devoted to develop her film industry. Even though Chinese film industry has been successful quantitatively, qualitative level is still low. To solve this problem, Chinese government is encouraging the Chinese film industry to expand global cooperation with the leading film-related companies in the world. In this situation, Korean film industry should find new growth opportunities based on world leading ICT and other fields such as shooting for special effects, trick shooting, make-up education, business planning consultancy, legal and managerial consulting, film distribution,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