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지역사회 프로그램 개발 시 문화유산을 활용하는 사례에 초점을 두어 바람직한 응용모델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관광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많은 지역자치단체들이 지역문화유산을 자산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잘 설계된 문화유산활용 프로그램은 문화유산 본래의 모습을 해치지 않고도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여 지역민에게 자부심과 문화향유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사회활성화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 사례로 경기도의 문화유산활용방안 공모로 채택된 ‘쿵쾅! 쿵쾅! 공룡허수아비 조형예술제’의 제안내용과 실제 프로그램으로 구상되어 실행되는 과정을 알아보고, 지역문화유산을 자산으로 한 지역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은 지역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지역문화 중흥을 가져올 수 있는 높은 가능성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rable application models of local community programs put the focus on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Recently, with the higher interest about the fact that tourist industry has a lot of clout in local economy, many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for ways to activate the local economy through the cultural assets. well-designed cultural heritage program can identify new value of heritage without compromising the look of the original and it can give self-esteem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residents to enjoy culture. Furthermore, it would create added value and contribute to local community activation. as specific case, this study examines the winning proposal of heritage utilization IPO(invite public participation) of Gyeonggi-do ‘the kung-kwang! kung-kwang! dinosaur scarecrow formative arts festival’. The study considers the contents and execution process of the project proposal and the possibility of a regional program by the local cultural heritage. In conclusion, local community program of leveraging cultural heritage has great value and a high potential which can redefine the identity of the region and bring local culture revi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