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김대중 정부시기 NGO 통일교육의 양극화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적 통일교육의기본방향과 내용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우리 사회에서 통일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국가 중심주의적 패러다임과 민족 중심주의적 패러다임으로 나뉘어져 왔다. 김대중정부 시기에는 민족 중심주의적 패러다임을더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이는 NGO 단체들의 통일교육에도 영향을 미쳤다. 2000년 정상회담 이후, 민족 중심적 패러다임 내지는 절충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NGO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사실 NGO의 이념적 성향보다는 오히려 통일교육 강사 개개인의 성향과 능력이 교육 내용을 좌우하는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통일교육 내용의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적 통일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한국은 다원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통일교육의 표준화가 쉽지 않다. 표준화된 통일교육은 사회 내에서 공론화 과정을 거친 국민적합의 속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일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통일관련 법과 제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북한 사회에 대한 이해 교육과 평화교육 등을통해 북한을 제대로 인식하고 이질성을 인정하고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arization of NGO’s unification education during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and to seek its alternative ways to resolve underlying problem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perspectives on the unification of two Koreas were mainly divided into a state-oriented paradigm and a nation-oriented paradigm. During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a nation-oriented paradigm was slightly more focused, which appeared to be influential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NGOs. After the inter-Korean summit talks in 2000, NGOs running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nation-oriented paradigm or eclectic paradigm have rapidly increased. However, the education program was more influenced by instructors’ personal preferences and capabilities rather than political positions or ideologies of NGOs. Therefore, discussion on alternatives to bridge the disparity problems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highly needed. Since South Korean society is such a pluralistic society, standardiza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might not be an easy process. Standardize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ublicly discussed and made in a national consensus within the community. For its accomplishment,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meaning of unification and to reamend the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properly recognize the country,to accept its difference, and to find ways to co-exist with its people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peace education on North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