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북한 기록영화는 대중선전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선전영화이다. 그럼에도 이 글에서는 북한의 기록영화를 단순히 선전선동의 수단으로만 규정하지 않고, 그 의미가 만들어지고 유포되는 방식을 둘러싼 생산과 투쟁의 장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 기록영화의 ‘텍스트 자체’ 분석에 유용한 기호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북한 기록영화에 재현된 열병식의 의미생성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카메라 기법에서는 체제의 긍정적 기의만을 부여하여 재현된 현실을 체제의 보편적 현실로 일반화시키고 희망찬 미래를 제시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편집 기법은 이항대립적인 대비 편집을 주로 사용하여 주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록영화 편집의 전형화에 충실하고 있으나 관습적인 영상문법과는 어울리지 않는 비약적인 편집방식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기호들 사이의 비약은 체제 수호에 대한 조급함의 기호로 해석된다. 셋째, 사운드 기법은 전반적으로 사운드 요소의 과잉으로 영상이 사운드에 종속되어 있다. 분석대상에서는 반제국주의 기획에 의해 직접적으로 미국에 대한 대항이데올로기를 표출하고 있다. 즉, 고난의 행군시기의 식량난을 인정하면서도 자신들은 정치적 생명이 중요하다는 점을 직설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무리 미국이 압살정책을 펼치더라도 우리에게 변화를 바라지 말라는 사상적 우월성에 기반한 저항이데올로기를 생성․유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볼 때, 열병식을 재현한 기록영화에서는 내부로 향한 부정 기호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들 영상기호는 과거 역사에 기초한 스토리와 연결되어 새로운 역사를 이야기하기 위해 이를 논증하고 설득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런 면에서 북한 기록영화에 재현된 열병식의 의미생성 구조의 특징은 첫째, 영상기호의 표상조작을 통해 역사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역사쓰기를 시도하고 있다. 둘째, 해당 시기의 당면한 실천 강령을 대비적 수법을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제시하고 대중의 사회적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셋째, 대중에게 미래 희망을 집단적으로 공유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기록영화는 단선적인 선전영화의 수준을 뛰어넘어 고유한 영상기호체계를 바탕으로 영상문법이 구축되어 있으며, 기록영화가 당 정책과 혼연일체가 되어 체제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are produced as propaganda material for public consumption. However, this study does not view such films merely as a means of propaganda and agitation, but identifies them as a venue for production and conflict regarding the manner in which semiotics of images are represented and meanings are created and distributed. In this context, a semiotic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the “text” present in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in order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meaning creation in parades in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camera techniques tend to bestow a positive image on the regime, standardizing the recreated reality as the accepted reality of the regime, and suggesting a hopeful future. Secondly, editing techniques are focused on the use of contrast editing with a binary opposition nature to strengthen the subject. To achieve this, editing methods conform to the standardized procedure of documentary film editing, but the existence of rapid editing that do not fit in the realms of traditional visual narrative grammar is also observed. This speed between visual semiotics seems to symbolize the haste required to protect the regime. Third, the sound techniques are typically overdone and the film is subordinated towards the sound. The subject of analysis depicts an anti-American ideology, stemming from the anti-imperialist designs. While acknowledging the famine during the Arduous March, they direct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ir political lives. Through this, they are creating and distributing a resistant ideology based on ideological superiority that asks not to expect change, despite the American suffocation polic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image representation in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do not illustrate negative semiotics about North Korean power within the semiotic system. Moreover, the semiotics of images in the films is based on meaningful stories from the past, which are used to present a new version of history. To facilitate this, such semiotics need to show characteristics of argument and persuasion. In this regard,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creation structure of parades recreated in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are as follows. First, history is reconstructed through manipulation of symbols in semiotics of images, thereby attempting to rewrite history. Second, the code of conduct of the relevant period is intuitively presented using a contradistinctive technique, actively inducing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ublic. Third, image representation performs the role of collectively sharing future hopes among the public. In conclusion, the North Korean documentaries are characterized by its own unique semiotics of images in the films, based on which the visual narrative grammar is founded, while surpassing the level of simplistic propaganda films. It is clear that documentary films are made such that the party’s policies form a core component of the reg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