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통적인 마을이 가지고 있었던 단결력과 자위수단, 이를 구체적으로 갈무리하고 발현시키는데 일조한 단골과 단골판문화를 현재적으로 재창출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단골판-단골거래-현재적 재창출’의 접점 찾기에 효과적인 ‘골목상권문제’를 논의의 기저로 삼았다. ‘단골판-단골거래’의 상관성 파악을 통해 단골은 ‘관계’가 요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관계는 단골무와 단골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상보적 관계이자 1:1 대등한 관계였다.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단골들의 끊임없는 견제 및 관심과 성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졌으며, 단골무는 덤을 줄 수 있는 능력획득과 심성유지를 필요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물리적인 거리감 유지와 지속적인 관계형성, 그리고 예술 영역을 적극 수용하였다. 거래차원의 관계를 뛰어넘어 가족과 같은 일체감형성과 그 문화(정문화)로 전환시키기 위한 목적과 방법이었다. 단골의 요체가 ‘관계’라는 관점에서, 본래의 단골과 현재도 실체를 갖고 있는 상거래상의 단골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펴본 결과 ‘신앙’을 기저로 했는가와 ‘신용’을 기저로 했는가의 차이이외에는 그 속성이 일치하였다. 신용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단골관계와 단골판 건설이 유효하다는 전제하에 한국의 현대도시사회에서 ‘골목문화권’이라 할 수 있는 공동체건설과 그 문화를 상정해보았다. 그 실현에 있어 ‘예술’을 적극 접목하는 것을 현재성의 요체로 보았다. 즉, 기본적인 의식주가 해결된 한국의 도시민들의 정서에 필요하고 효과적인 요소라는 점과, 이질적인 집단과 성격들을 아우르는 데 문화․예술이 갖는 탁월성에 주목한 것이다. 또한 단골관계를 공동체의 관계로 확대․공유․순환시키는 단골판의 문화가 굿이며, 굿은 예술 그 자체로 볼 수 있을 정도로 그 본질적인 속성 중의 하나였다는 점, 이것이 강점으로 작용할 것이란 기대감이 전제된 선택이다. 예술을 주조로 한 새로운 단골관계와 단골판을 형성하는 것은 현대예술의 측면에서도 큰 의의를 가질 수 있는데 2가지를 제시하였다. 인터넷환경이 만들어내는 현대예술의 문제해결과 전망에 크게 부응할 수 있는 방안이며, ‘단골무=단골상인=단골예술인’으로 자리함으로서 예술인들의 생존권획득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장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며, 예술이라는 전문성과 정체의식으로 무장한 새로운 ‘단골장인’의 등장과 적극적인 활동이 전개된다면 그 가능성은 높다고 예견하였다. 실제로 2000년대에 들어서서 한국사회에 그런 ‘단골장인’들이 자생적으로 나타난 사실을 그 가능성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In this thesis, we try to find how we recreate Dangol and Dangol-Pan culture nowhere. Dangol-Pan culture has made solidarity between members and been belived protecting their safety of mind and body in traditional towns. To find intersecting point between ‘Dangol-Pan’, ‘trade of Dangol’ and ‘contemporary recreating of them’, we start at the problem about making effective trading area in ‘Gol-mock’.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angol-Pan and the trade of Dangol shows that the relationship is a core point of Dangol. The relation is complementary for both Dangol-mu and Dangol. And the relationship is based on equality of them. To continue the equality, Dangol is having interest for Dangolmu, while Dangol checks each other conceasingly. On the other hand, Dangolmu should have braod mind and ability, which is able to give Deom for Dangol. So they try to maintain moderate distance, continue relationship and adopt the territory of art. Furthermore, the object for this relation is not only having business benefit but also making unity like family and atmosphere of Jeong-culture. The word Dangol is used more widely nowadays for saying commercial relation between customers and merchants. Traditional Dangol based on ‘faith’, whereas contemporary Dangol based on ‘trust’. But characteristics of them are very similar. Therefore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in recreating new Dangol relationship and rebuilding Dangol-Pan thesedays. To adopt the concept of Dangol, we suppose to make community based on ‘the cultural area of Golmock’. The methods of art are very effective way in modern urban life for making the cultural area of Golmock. Because the need for art has arised for Korean urban people who has fulfillment for nesessities in life. The art also help to reduce conflicts between diverse communities. The culture of Dangol-Pan is Kut, which expands, shares and circulates relations of Dangol to relations of communities. Kut itself is comprehensive art and also fundemental characteristic of Dnagol-Pan culture. In the area of modern art, recreating new Dangol relation and Dangol-Pan based on art is meaningful either. It could compensate problems of contemporary art occured by Internet. Futhermore, by artists settling in Dangol, artists could achieve living. So the role of ‘Jang-in’ is needed to recognize in new perspective thesedays. Provided new Dangol Jang-in have professionalism in the art and active vigorously, recreating new Dangol-Pan would be built in the near future. In reality, in the 2000s, Dangol Jang-in who have been appearing by themselves show great prom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