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민속학개론은 민속학 입문자를 위한 교재로서 독서형 민속학 자습서가 아니라 현장형 민속학 실습서가 되어야 하며, 완벽한 개론서로서 민속학을 완성한다는 환상에서 해방된 열린 개론서야 한다. 입문서인 까닭에 민속학 이론보다 민속의 구체적인 사례를 강조하고, 흥미로운 민속현상 중심으로 민속공부에 빠져들도록 할 뿐 아니라, 학생들이 수강자로서 강의의 객체가 아니라 주체로서 강의교수가 되어 강의를 하도록 하는 데까지 나아갈 필요가 있다. 강의계획도 현지조사를 중요시하고 인터넷으로 양방향 소통을 하면서 미완의 강의를 공동으로 완성해 가도록 설계한다. 민속학 교육은 두 가지 유용성을 추구해야 한다. 하나는 민속학의 학문적 유용성이고 둘은 사회적 유용성이다. 민속연구의 새로운 문제의식을 발견하여 함께 해결해나가는데 흥미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학문적 유용성이고, 민속지식으로 현실적인 문제인 취업과 창업은 물론, 각자 자기 삶을 바람직하게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회적 유용성이다. 따라서 동시대의 디지털문화와 관련된 민속 현상도 끌어안아야 할 뿐 아니라, 개론서의 편집체제도 혁신해야 한다. 항목 중심의 횡적 열거가 아니라 문제 중심의 논지를 설정하여 학계의 새로운 조류를 포착하고 전망하도록 하는 문제의식을 던져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민속현상을 동영상으로 생생하게 보여주는 전자책(e-book)으로 기획하여 기존 개론서 체제를 혁신하는 것은 물론, 민속은 연행될 때 진정한 민속이라는 사실을 실감하게 한다. 개론서로서 독창성을 지니려면 한국 민속학개론서로서 대상과 시각의 독자성도 확보되어야 하지만, 저자마다 제각기 개성을 가진 민속학개론들이 다양하게 존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여러 필자들이 전공 영역을 맡아서 공동으로 집필하는 완벽한 하나의 개론서를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일관된 민속학의 관점이나 논리 대신에 항목 중심의 해설에 머물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완벽한 개론서의 우상화에 빠질 위험이 있는 까닭이다. 특히 입문서 구실을 하는 개론서는 미완의 여백을 남길수록 민속학 입문의 동기를 더 잘 부여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의도된 미완성의 민속학개론서들이 다양하게 공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troductory book of the Korean folklore education shall be a folklore workbook for field, not a self-teaching book as an introductory teaching tool for reading and it is imperative to wake up from the delusion that it, as the perfect introductory book, will bring folklore to completion. It is necessary for the introductory book to immerse the readers into the research of folklore centered around the interesting folklore phenomena and to put an emphasis on the specific examples of folk rather than the theories of folklore. And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student not to be the object of the lecture as participant but to give a lecture as professor.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put an emphasis on the field site inspections in lecture plan and It is necessary to plan to bring the incomplete lectures into completion jointly with a two-way communication through internet. Folklore education shall pursue two kinds of usefulness. One is the academic usefulness of folklore and the other the social usefulness. It is the academic usefulness with which awareness of the new issues in the folklore can be discovered to have an interest in working on the problems together. And it is the social usefulness with which the acceptable design and practice shall be made in our lives as well as in being employed and building a start-up through folklor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innovate the editing system of the introductory books and at the same time to embrace the folk phenomena related to the contemporary digital culture. It is important to present the awareness of issues in which the thesis centered on the issue may be determined and the new trends in the academic circle can be detected and observed rather than item-centered horizontal enumeration. So, it is necessary to plan to publish the e-books showing the folk phenomena vividly by the video, leading to realize that the performed folk is folk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at the same time innovating the existing system of the introductory book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uniqueness regarding the objects and perspectives of the introductory book of Korean folklore in order to be creative as the introductory book but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the introductory books of folklore with individuality by the author. Therefore, it is not advisable to publish a perfect introductory book by the writers of various major fields. It is because there is high probability of ending up at the commentary centered on the items rather than on the consistent point of view and logic regarding folklore and at the delusion that it is a perfect introductory book. Especially, with an introductory book yet to be fully completed, the motivation of being into folklore may be strengthened. Therefore, it is advisable for the intended incomplete introductory books of folklore to co-exit in the diverse 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