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 role do emotional factor play in Durkheim's theory of crime. This paper would briefly highlighted Durkheim’s view that crime is a ‘Normal’ part of any human society, before going on to discuss the role of the emotional factors in his theory. In addition to fear, anger, and other basic human emotions, the feeling of belonging on social solidarity would also be interpreted as an ‘Emotional Factor’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The first part was Durkheim’s theory of crime and Merton’s view on anomie, here Durkheim defined crime or view it as normal rather than pathological phenomenon. The second part was role of emotional factor in society and also social solidarity which Durkheim used to demonstrate the role of emotional factor in society and these two social solidarity, Mechanical and Organic Solidarity. In conclusion part, it could be argued that Durkheim believe that a normal crime is a crime that was not excessive and the role emotional factor play in a society is to generate and maintain a society, also the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of the forms of solidarity. According to Durkheim in his emotion, that which holds a society together, the glue of solidarity is emotion.


이 연구는 Emile Durkheim(이하 Durkeim)의 범죄이론에서 정서적 요소가 범죄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재해석을 해보고 사회학이론을 통하여 범죄자라는 인간을 어떻게 한층 더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발전적 논의를 이끌어내기 위함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Durkheim이 인간사회의 일부분으로 본 범죄라는 것에 대해서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두려움, 격노, 그리고 다른 기본적으로 인간이 가지고 있는 정서적 요소들이 사회적 결속이라는 공식적 비공식적 틀 속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에 대해서 Durkheim의 이론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Durkheim의 범죄이론과 머튼의 아노미이론의 관점에 대해서 살펴보고 범죄라는 것이 왜 병리학적 현상에서 보면 지극히 정상적인 행동인지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분석하였다. 제3절에서는 기계적이고 유기체의 복합체인 사회에서의 정서적 요소들의 역할과 사회결속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내용을 통해서 어떻게 범죄자라는 인간을 한층 더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