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을 포함한 27개 OECD 회원국과 불가리아, 중국,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및 베트남의 6개 국가들로 구성된 체제전환국가군별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1인당 실질소득의 사회적 기술과 물리적 기술 민감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민감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여타조건을 불변으로 할 때 1인당 실질소득의 사회적 기술과 물리적 기술 탄력성을 산출하였다. 사회적 기술을 나타내는 지표로 반부패지표와 재산권보호지표 그리고 법치지표를 사용하였다. 물리적 기술은 인구 100명당 인터넷 사용자수를 대용하였다. 추정 결과 OECD국가군과 체제전환국가군에 대한 1인당 실질소득의 세 개의 사회적 기술지표탄력성의 값을 비교한 결과, OECD국가군이 체제전환국보다 1인당 실질소득의 세 개의 사회적 기술 탄력성의 값이 더욱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OECD 국가들이 체제전환국가들보다 세 개의 사회적 기술이 국민 1인당 실질소득에 더욱 민감함을 의미한다. 한편 OECD국가군과 체제전환국가군에 대한 1인당 실질소득의 물리적 기술 탄력성의 값을 비교한 결과, OECD국가군이 체제전환국보다 1인당 실질소득의 물리적 기술 탄력성의 값이 더욱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OECD 국가들과 체제전환국가들 모두 1인당 실질소득은 물리적 기술을 나타내는 IT보다 3개의 사회적 기술지표들에 더욱 탄력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OECD 국가들과 체제전환국가들 모두 반부패와 재산권 보호 그리고 법치가 IT보다 국민 1인당 실질소득에 더욱 민감함을 의미한다.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social and physical technologies of per capita real Gross Domestic Product (hereafter income) between 27 OECD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six transition countries such as Bulgaria, China, Rumania, Russia, Ukraine, and Vietnam during 1998-2005. For this we obtain the ceteris paribus mean elasticity of per capita real income with respect to social and physical technologies. The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each of the three social technologies in this paper (i.e., anti-corruption, property rights, and the rule of law) makes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per capita real income in both OECD and transition countries. The regression results also suggest that per capita real income is more elastic with respect to each of the three social technologies in OECD than in the transition countries. It is evident that per capita real income is more elastic with respect to each of the three social technologies than IT as a proxy for physical technology in both OECD and the transition countries. An implication of this is that each of anti-corruption, property rights, and the rule of law is more sensitive to per capita real income than IT in both OECD and the transition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