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최근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경제사고 및 사상의 움직임을 소개하고 기존 서구 중심의 경제사상이 가지는 한계로부터 아시아의 전통사상이나 철학이 경제사상에 던질 수 있는 시사점을 추론해 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자유주의와 합리적 기대가설에 기반을 둔 기존 주류경제학이 정립된 것은 대체로 80년대 초라고 할 때 이후 경제학에 변화를 가져 온 계기는 1차적으로 90년대 초 사회주의경제의 붕괴이다. 이행경제논쟁에서 제도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에서의 윤리의 중요성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아직 제도적 측면에서 서양을 따라가야 할 길이 멀다. 그러나 윤리적 측면에서 특히 지도자와 엘리트 그룹이 노력하여 모범을 보이고 새로운 경제관을 제시할 수 있다면 아시아가 서양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서 인류 전체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 될 수도 있다. 경제학도 인간에 대한 학문이다. 19세기 이래 경제학이 과학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기 위해 노력했다면 이제는 인간학으로서 다시금 자리매김해야 할 때이다. 인류의 지속 가능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인류는 다시금 동서양의 오래된 지혜의 힘을 빌려야할 때이다. 경제학이 다시금 옛날의 영광을 되찾을 수 있으려면 자존심을 버리고 겸손하게 자신을 개방하고 비판을 겸허히 수용해야 할 것이다.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main stream economics has been facing many critics and questions about its usefulness. A consensus of the necessity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economics has been formed. This paper tries to introduce movements of new economic thinking and thoughts while deriving the implication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nd philosophy for the new economic thinking. The first recent momentum for the change of the mainstream economics was the collapse of former socialist countries. Therefore, Ch.2 deals with the controversy of transition economy regarding the ways and the strategies for the transition to market economies in order to summarize its influences to the existing economics. Ch. 3 summarizes the diverse movements and trends regarding the search for new economic thinking and the paradigm shift. Ch 4. is a conclusion including summary of the implications of Asian perspective for the new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