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불완전했던 중국의 성별 ․ 분기별 패널데이터를 보완하여 이들을 결정지은 요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계량적으로 추정했다. 이를 위해 2009년 데이터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졌으며, 2015년 데이터까지의 기간을 확보했고, 북중무역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무연탄 및 원유 수출입 가격도 포함시킴으로써 설명력을 강화하도록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실증분석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제사회의 제재는 북한의 대중 수출입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오히려 대중 수출은 한 분기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기도 했다. 둘째, 2000년대에는 다른 어떠한 요인보다 무연탄이나 원유 수출입 단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최근 북한의 지하자원 수출단가 하락이 전반적인 북중무역 감소를 이끌었다는 사실이 이러한 추정 결과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conducts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what determines the trade volum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in the 2000s. Following the revision of 2009 trade data,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anel data consisting of cross-section data from 30 provinces in China and quarterly time series data from 2000 to 2015. The analysis revealed that unit price of anthracite export affects the volume of North Korea’s exports to China, while that of crude influences the imports from China.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recent trend, where unit price fall of underground resources plays a major role in the decline of trade volume between two countries. Also, it was found that UN resolution had no particular impact, as many previous studies con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