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每句用韻이 두드러진 특징인 온전한 柏梁體로 우리나라에서 지어진 이른 시기의 작품은 白文節의 <花岩寺雲梯>, 시체 수용 초기의 가장 주목되는 시편은 李穡의 <天寶歌, 過薊門有感而作>으로 보인다. 이색의 작품은 전통과 應變을 함께 추구한 예로서 7언고풍에 요구되는 기상, 문채와 시상전개, 시어의 미덕을 두루 갖춘 뛰어난 영사시이다. 平聲陽韻의 一韻到底格 백량체인 益齋 李齊賢의 <後儒仙歌>는 及菴 閔思平과 목은 이색의 차운시가 지어지도록 했는데, 이 세 편은 정격 장편이라는 점, 모두 중국인 顧雲이 崔致遠에게 준 <儒仙歌>를 이어서 특이한 성품과 생애를 지녔던 졸옹을 ‘후유선’으로 인식한 사유가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두루 검토할 의의가 크다. 익재의 <후유선가>는 예스런 풍격을 추구하며 웅심한 기상과 한아한 정조를 기조로 한 작품인데, 정조의 변화나 필세의 기복이 부족하고, 文彩가 전중하고 노숙하지만 번다한 인유로 중복감을 주며, 詞藻도 화려한 편은 아니다. 시상전개 또한 중후함이 미덕이지만, 精彩語를 배치하여 정제되게 포서한 작품이라 하기는 어렵다. 익재의 7언고풍 중 수작으로 볼 수 있지만, 시세계를 대표할 만한 탁월한 작품이라 하기는 어렵다. 급암의 <후유선가>는 익재보다 신식을 추구하며 우유, 한아한 기상과 정조를 기반으로 한 작품으로 변화와 기복이 미약하고, 서술에 의존한 탓에 평면적 느낌을 주며, 문채도 노건하나 화려하지는 않다. 본단의 의경은 초점화에 의한 정제성이 높지만, 시선이 분산되어 주제가 모호해진 점이 약점이며, 정제어를 수반하여 포서된 점은 긍정적이다. 급암의 7언고풍 가운데 수작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매우 뛰어난 작품으로 보기는 어렵다. 목은의 작품은 예스러움과 신식을 함께 추구한 백량체로 호방한 기상, 강개한 정조, 준장한 필세로 되어 있어 풍격에 차이가 있다. 본단이 서술, 묘사, 비유를 안배한 균형적 포서로 펼쳐지고, 전체 의미맥락도 체계와 초점을 지니고 있다. 또 기단과 결어의 조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정제어도 잘 배치되어 있다. 기상, 정조, 結構, 筆力 모두 상당한 미덕을 지닌 빼어난 고풍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Yisaek's “Song about the Cheonbo Period(天寶歌)” as an eminent work among Baekryang style(柏梁體) poems as seven letters archaistic poem(七言古詩) in early Korea was an excellent poem expressing historical materials with merits of old fashions. The three pieces of “Song for a Post Confucianist Taoist Hermit(後儒仙歌)” written by Ikjae Yijehyeon(益齋 李齊賢), Geupam Minsapyeong(及菴 閔思平) and Mogeun Yisaek(牧隱 李穡) for cherishing Jolong Choihae(拙翁 崔瀣) are fine regular Baekryang style poems altogether. Those were products by taking recognition of Jolong as a post Confucianist Taoist hermit. “Song for a Post Confucianist Taoist Hermit” written by Ikjae and Geupam's arearchaistic style, and lacking in openhearted sprit and undulations of stroke. And its literary embellishments are not magnificent, and unfolding technic are loose a little too. Therefore those are able to be estimated as fine pieces, not to be estimated as masterpieces. Mogeun's “Song for a Post Confucianist Taoist Hermit” is an archaistic and newly style together. It has openhearted sprit, righteous emotions, stout broke and splendid literary embellishments. And it's unfolding technic is in order, and the close is in sympathy with the beginningl well. Therefore this work is able to be estimated as masterpieces.


Yisaek's “Song about the Cheonbo Period(天寶歌)” as an eminent work among Baekryang style(柏梁體) poems as seven letters archaistic poem(七言古詩) in early Korea was an excellent poem expressing historical materials with merits of old fashions. The three pieces of “Song for a Post Confucianist Taoist Hermit(後儒仙歌)” written by Ikjae Yijehyeon(益齋 李齊賢), Geupam Minsapyeong(及菴 閔思平) and Mogeun Yisaek(牧隱 李穡) for cherishing Jolong Choihae(拙翁 崔瀣) are fine regular Baekryang style poems altogether. Those were products by taking recognition of Jolong as a post Confucianist Taoist hermit. “Song for a Post Confucianist Taoist Hermit” written by Ikjae and Geupam's arearchaistic style, and lacking in openhearted sprit and undulations of stroke. And its literary embellishments are not magnificent, and unfolding technic are loose a little too. Therefore those are able to be estimated as fine pieces, not to be estimated as masterpieces. Mogeun's “Song for a Post Confucianist Taoist Hermit” is an archaistic and newly style together. It has openhearted sprit, righteous emotions, stout broke and splendid literary embellishments. And it's unfolding technic is in order, and the close is in sympathy with the beginningl well. Therefore this work is able to be estimated as masterpie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