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다자이 오사무의 전시체제 중의 작품들에 보이는 상대적인 표현들이 대체로 당시의 중심화 된 지배이념들의 가치체제를 탈중심화 시키는 작업과 맞물려 있음에 주목하여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 그 양상의 일면을 밝힌 것이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라는 집단으로부터 벗어나 고유의 존재로서의 개인의 삶을 추구하는 인물상을 등장시킴으로써 일본 파시즘의 중심적 이데올로기이었던 ‘가족국가공동체’의식을 해체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에 대한 충성과 애국을 강요하는 시대적인 요구를 풍자하며 등장인물들의 서로 다른 다양한 대상에 대한 헌신을 그림으로써 국가를 위한 헌신만이 정당한 것으로 강조되었던 중심적 가치관을 탈중심화 시키고 있었다. 셋째, 국민이 전쟁의 인적자원으로서 인식되어 ‘우량’에 대한 지향과 ‘열등’에 대한 배제가 정당화되었던 당시에 오히려 ‘열등’자에게 존재의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대립하는 양자의 가치질서를 흔들고 있었다. 다자이 작품들에 보이는 이러한 탈중심화는 인간을 정신적・신체적으로 억압하는 전시체제의 절대적이고 획일적인 가치체제에 대한 이탈이자 저항의 의미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Dazai Osamu’s decentering way of thinking and examines how it is expressed in his works in the war period. The first chapter discusses that his works present figures who diverge from the group of community and seek individual life as unique beings, and thus dismantle “the sense of family-nation community,” which was the central ideology of Japanese fascism. The second chapter confirms that by satirizing the demand of the times to require the loyalty of the people to the nation and depicting the devotion of the characters to various objects, his works were decentering the value that emphasized that devotion to the country is the only valid way to exist. The third chapter, by giving significance of existence to the inferior character at a time when people were viewed as human resources for war and the pursuit of the superior and the elimination of the inferior were justified, shakes up the value system based on these conflicting oppo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