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상, 후타바테이의 번역 작품 『아이비키』의 초역과 개역 원고를 대상으로 오노마토페의 표기를 조사한 결과, 가나표기가 우세한 초역과는 달리, 개역에서는 한자표기율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양 원고가 수록된 게재지의 성격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역을 수록한 『국민지우』의 문장은 전체적으로 딱딱한 논설체로서, 한자를 적극적으로 다용하였으나 후리가나 대응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한편, 개역은 후타바테이의 번역 작품을 모은 단행본 『가타코이』에 게재되어 문체 및 표기에 대한 제약이 비교적 자유롭고, 나아가 개역 원고는 총루비 형식을 취하였기 때문에 오노마토페 표기에 있어 한자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초역과 개역에서 동일한 장면의 문장을 실례로 오노마토페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변화를 오노마토페가 생성된 경우, 오노마토페가 삭제된 경우, 다른 오노마토페로 교체한 경우, 그리고 표기가 바뀐 경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초역에서 보이지 않지만, 개역 원고에서 오노마토페로 번역한 대부분의 경우가 자연묘사 및 등장인물의 심리묘사 장면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역에 사용된 오노마토페가 개역에서 삭제된 경우는 사물의 상태나 인간의 단순한 행동 묘사를 나타내는 용례가 많았다. 한편, 러시아 원문에 보다 가까운 의미로 번역하기 위해 초역에 나타난 오노마토페를 개역에서 다른 오노마토페로 교체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초역에 나타난 오노마토페의 표기가 개역에서 바뀐 경우에서는 먼저 「ガサガサ」「ノソリノソリ」가 「がさがさ」「のそりのそり」와 같이 가타카나표기에서 히라가나표기로 교체되거나, 「ブルブル」가 「慄然」으로 교체된 것과 같이, 초역에서 가나로 표기된 오노마토페가 개역에서는 그대로 후리가나로 표기되고 여기에 한자를 사용한 이중표기의 용례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양 원고에 있어 오노마토페의 표기형태 차이는 게재지의 성격에 따른 외적요인과, 원문을 최대한 축어역으로, 나아가 언문일치 문체로 옮기려고 한 작가의 내적요인에서 오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개역 원고에서는 등장인물의 심정표현이나 자연현상을 세밀하게 묘사하기 위해 복선적 기능을 지닌 후리가나가의 도움으로 「悄然」「慄然」「嫣然」 「吃驚」「煌々」 등과 같은 한어 오노마토페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의 연구에서는 『아이비키』만을 대상으로 초역과 개역의 오노마토페 표기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다음 연구에서는 트루게네프의 같은 시기에 번역된 『메구리아이』와의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나아가 우치다로완(内田魯庵)의 번역 작품 『죄와 벌(罪と罰)』에서도 초역과 개역의 원고가 존재하는데, 두 작가의 개역 의의를 오노마토페의 표기를 중심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onomatopoeia notations based on the first translation and retranslation of Futabatei Shimei's translation work, 『Aibiki(Secret love affair)』. Upon investigation, kana orthography is dominant in the first translation, but kanji orthography is increased in the retranslation. It can be seen that this trend in both copies results from the style of magazines. The style of 『Kokuminnnotomo(The Nations Friend)』, including in the first translation, is generally rhetorical and uses kanji abundantly, but the usage of furigana is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 kanji of onomatopoeia notations can be actively introduced in the retranslation of his single book 『Katakoi(Crush)』, because of the free writing style and notations and the abundant use of furigana, unlike in the previous translation. Next, it is noted that the creation, deletion, replacement, and change of onomatopoeia are divided by contrasting sentences of the same scene between the first translation and retranslation. As a result, most translations using onomatopoeia are of scenes of a descriptive nature and characters' psychology in the retranslation. Also, there are many descriptions of the conditions of objects and of human behavior where previously used onomatopoeia has been deleted in the retranslation. In order to translate Russian originals closely, onomatopoeia in the first translation is replaced by different onomatopoeia in the retranslation. For example, similar onomatopoeia is used in both translations of Turgenev's original script. Differences in form between the onomatopoeia of both translations are divided according to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the former is influenced by the style of magazines and the latter is a result of the change in the translation process, that is, from literal translation to liberal translation. Unlike in the first translation, kanji onomatopoeia such as 「悄然」「吃驚」「煌々」 can be used efficiently for describing a character's feelings and natural phenomena, with help of furigana as a suggestion in the retranslation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