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교회의 위기는 목회자의 위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회 목회자는 이제더 이상 사회에선 존경의 대상이 아니라 손가락질 당하는 냉소의 대상이 되었다. 목회자 위기의 시대다. 세계적 목회자와 지도자로 알려진 영산조차 한국사회에서는 안타깝게 존경의 대상으로 비쳐지지 않고 있다. 무엇이 문제인가? 이미 그의 목회 지도력과 영향력은 전세계에 두루 알려졌지만, 그가 한국에서사회적 영향력을 왜 광범위하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지 그리고 대사회적 신뢰를 왜 얻지 못하는지 그 이유를 궁구해 보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영산은 목회자로서 개신교를 대표하는 지도자이다. 목회윤리의 제1의 과제는 목회자의 자기 정체성 확인이다. 영산은 먼저 신실한 신앙인이라는 자각을갖고 목회를 시작한다. 참 신앙인에서 하나님의 종으로 부름을 받아 참된 사역을감당하고 영혼을 구원하는 설교를 하게 된다. 영산은 고달픈 삶의 여정 중에 폐병치유의 은혜를 받고 목회자로서 소명을 받았다. 영산은 병 치유 과정 시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종으로 부름을 받았다. ‘새로운 사람’으로 변화한 깊은 영적 체험 아래 복음전도자, 목회자 사명의 길을 걸었다. 영산은 끊임없이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고 그의 인격을 다듬어갔다. 영산의 리더십은 그렇게 성령에 의해 만들어진 리더십이다. 성령과의 친밀한 연합이 그의 리더십의 원천이다. 영산의 목회는성령에 이끌려 그와 함께 하고 성령을 전적으로 따름으로써 이루어진다. 영산의 목회는 전인구원 목회로서 특징지어진다. 전인 목회는 오중복음과 삼중축복에 기초한다. 그의 목회는 오로지 영육 간의 축복받는 것만으로 제한되지않는다. 신앙으로 인한 삼중축복의 삶은 도덕적인 삶과 인격의 성숙과 연결된다. 이렇게 도덕적 성숙과 긴밀히 연결된 영산의 목회는 목회윤리적 측면에서 바람직한 목회의 표상이 된다. 전인 목회는 사역 영역에서 보면 다시 교회 내 사역과 교회 밖 사역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교회 공동체 윤리, 후자는 사회윤리와 연결된다. 먼저 영산은 교회공동체를 위한 사역인‘교회 내 사역’, 즉 영혼구원과 복음 전파에 진력했다. 세계최대의 교회에서 목회했다. 영산은 50년 성역을 마치면서 친인척 세습이 아닌 정당한 청빙 절차에 따라 후임자를 정하고 은퇴하여 원로목사가 되었다. 영산의 은퇴는 교계로부터 그리고 일반사회로부터 사회적 공신력을 크게 높여주는 계기를만들어 주었다. 영산은 교회 밖 사역, 즉 공공목회 영역에 해당되는 사회봉사에서 큰 족적과공헌을 남겼다. 영산이 공공목회 차원에서 사회봉사 사역을 꾸준하고도 충실하게 모범적으로 감당한 것은 참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하고, 부분적이지만 사회적 지도력을 획득하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영산은 단 한 가지 보수정치 세력과의 연계, 기독정당 설립 등 첨예한 정치 문제에 직·간접적으로관여함으로써 사회 통합의 지도자로까지는 아직 부각되질 못하고 있다. 존경받는 사회적 지도자가 갖출 필수적 덕목은 사회전체를 아우르는 중도(좌로나 우로 치우치는 않는 길)를 유지하는 것이다. 영산이 교계를 뛰어 넘어한국 사회 전반에 걸치는 영향력을 미치는 존경받는 개신교 지도자가 되기위해서는 이념, 지역, 계층, 세대 갈등과 분열로 출렁이는 한국사회에서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 종교계와 비종교계 모두를 아우르며, 미래 한국을보여주는 통합과 화해의 자리에 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Youngsan’s clergy and ministry according to pastoral ethics by looking into his clergy and ministry done over 50 years in the Yoido Full Gospel Church. He is a well-known paster who is fixed on ecclesiastical boundaries all over the world, but not social influenced expecially in Korea. What’s then problems?One first task is to explore Youngsan’s self-identity of minister. His entire life based on his personal experienc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Thus, his new spiritual life by the Gospel of Regeneration is able to begin with pastoral work as both true believer and true minister. Youngsan’s personality derives from a spiritual birth with the Holy Spirit. It makes a new moral life. The spiritual life and pastoral work is impossible without moral life. Youngsa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uman spirits, the personal relationship of Christians with the Holy Spirit. His leadership is based on the powerful ministry of the Holy Spirit. Because it’s a charismatic leadership for church-growth, but not a moral servantleadership. Our second task is to ask for Youngsan’s pastoral ministry which has been based in the Holy Spirit. His ministry is a total ministry. It means ‘fivefold Gospel’ and ‘threefold blessing,’ must be controlled and led by the Holy Spirit. The ‘fivefold Gospel’ makes both the spiritual recovery of a new life and blessing of life. The threefold blessing shows us the promise of prosperity in all respects, also spirit, soul and body. The believer’s life can prosper in all respects,also spiritual, healthy, materialistic-oriented, moral fields. Youngsan’s pastoral ministry is divided in two fields, ministry in the church(community ethics) and out the church(public ethics). The ministry in the church concerns financing from the believers, cares of colleagues -both ordained and lay- and retirement of senior minister. Youngsan kept no other options for financing ministry with a moral base than the offering, cared carefully his colleagues and retired 2008 the ministry without passing on power to his descendants. The ministry out the church concerns the social services and social behavior. Youngsan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neighbors, helped for the poor, the weak in Korean society. He has taken 2004 and 2011 an action in politics through forming a Christian party. But his conservative social-behavior has been influenced negative in Korean society. Therefore, He may not be a representative leader for the social integration, only a pastoral leader in Yoido Full Gospel Church or in Kore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