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 오순절 성령운동의 배경과 전 세계에 빠르게 확산된 이유에 대해 조명하여 현재 위기에 직면한 한국교회의 미래를 대처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미국의 다양한 감리교 운동과 성결운동은 현대 오순절 성령운동의 주요한 기점이 된 1906년 아주사 거리의 성령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아주사 거리의 오순절 성령운동은 성경 이야기를 통한 희망, 다인종·다문화적 배경, 그리고 과거와 단절되는 도덕적·실천적 삶과 회심의 강조를 통해 폭발적으로 성장하였고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현대 오순절 성령운동은 이렇게 볼 때 이론적이기보다는 실천적이었으며, 높은 상류사회보다는 낮은 하층계급에서 일어난 운동이었다. 한국에 이식된 오순절 성령운동도 이러한 성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성경을 통한 희망, 다른 지방에서 상경한 다양한 사람들 사이의 친교,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세계관등은 한국 오순절 성령운동이 가진 장점이었다.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는데 그것은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샤머니즘적 경향, 물질적인 성공에 대한 강조, 사회적인 책임의 방기, 교회의 대형화와 기업화 등이 그것이다. 한국교회는 현재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교인 수의 감소, 젊은 세대의 부정적인 시각, 이단들의 발호로 인한 이미지 손상, 반기독교단체의 왕성한 활동, 한국사회에 대한 도덕적 권위 상실 등 한국교회는 여러 문제로 인해 고통당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초기 오순절 성령운동이 갖고 있었던 여러 장점을 받아들이고, 부정적인 면을 최소화함으로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다고 이 논문은 결론짓는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various backgrounds of modern Pentecostalism and reasons of its rapid spread in the world. In doing so, this article tries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crises of the Korean church. Methodist movements and Holiness movements have fueled the rise of the Azusa Street revival movement in 1906 that is regarded asone of the most important origins of modern Pentecostalism. Reasons for the rapid spread of Pentecostalism are discussed, including its emphasis on the Biblical narratives, its inter-racial origins, and its emphasis on the moral life and repentance. Thus, Modern Pentecostalism shows that it is rather more practical than theoretical, rather lower class oriented than higher class oriented. Korean Pentecostalism has shown the same tendencies such as love of biblical narratives, fellowship among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optimistic world views through positive thinking, etc. However, Korean Pentecostalism has shown some negative aspects as well: selfish shamanistic ways of believing, excessive emphasis on materialistic blessings, ignorance of social issues, corporate style management of the church, etc. Korean churches face some significant crises such as membership decline, a negative regard by the younger generation, the challenges of heretical sects, negative campaigning by anti-Chrisitian groups, loss of moral leadership in Korean society, etc.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ositive aspects of Pentecostalism would help the Korean church overcome these crises. Also, Korean churches would find ways to overcome their crises by avoiding the negative aspects of Korean Pentecost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