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오순절 예배의 특징인 예배형 에큐메니즘을 신학적으로 규명하여 예배 갱신과 교회 일치를 위한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오순절 예배의 특징들과 정체성은 다른 예배들과의 차별성보다 에큐메니컬 예배로서의 긴밀한 상호 관계성과 그들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것에서 발견된다. 본 연구는 오순절의 예배가 여러 교회들의 예배와의 상호 관계를 통해 교회의 예배 갱신뿐 아니라 연합과 일치까지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예배형 에큐메니즘의 내용과 형식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그 내용과 형식이 무엇이며 예배 갱신과 교회 일치를 위한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될 수 있는지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20세기의 오순절 운동과 에큐메니컬 운동이 각각 같은 시대에 결성되어 초대교회에 나타난 성령의 역사와 교회의 하나됨을 회복하려는 동일한 성경적 근거와 목적을 지닌 운동들임에도 예배형 에큐메니즘의 관점으로부터 그 두 운동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하였다. 더구나 이 두 운동들의 관계를 통해 예배의 일치가 교회들의 일치를 이끌어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예배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또한 예배형 에큐메니즘은 에큐메니즘과의 관계와 이해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오순절교회들로부터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할 뿐 아니라 잘못 이해되고 있다. 한국교회 안에서도 오순절 예배는 기독교의 예배 전통으로부터 벗어난 비예전적 예배를 대표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그래서 예배학 분야에서 주목받거나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오순절 예배의 에큐메니즘의 기원, 발전, 그리고 공헌 단계들을 차례로 고찰한다. 첫째로 오순절 예배가 초기에 형성될 때 오순절 예배의 특징인 에큐메니즘이 어떻게 형성되기 시작했는지를 오순절의 에큐메니컬 영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둘째로 오순절 예배가 발전되는 과정에서 그 예배의 독특한 내용과 형식이 된 예배형 에큐메니즘의 특징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오순절의 예배형 에큐메니즘이 오늘날 교회들의 예배 갱신뿐 아니라 연합과 일치를 위한 하나의 가능성으로 공헌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The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ecumenism of Pentecostal worship as a possibility for worship renewal and church unity.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Pentecostal worship is found by close inter-relationships with other liturgical traditions and its influences on changing them ecumenically, rather than by its differences from them. The study aims to explore how Pentecostal worship can bring ways to achieve both worship renewal and church unity in terms of inter-relationships with other liturgical traditions, how liturgical ecumenism were formed in Pentecostal churches, and what its contents and forms are as well as how it can have influence on worship renewal movement and ecumenical movement. However, the two major Protestant movements have not been dealt from the perspective of liturgical ecumenism, even though they launched in the same period and had the same biblical foundation and purpose to recover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nd the church unity experienced by the earliest church. Moreover, liturgical studies didn’t deal with that the unity of worship may play a significant role to bring church unity. Pentecostal churches didn’t recognize and understand its right value because of their negative views on ecumenism. It is understood that most Korean churches take Pentecostal worship to be a representative non-liturgical tradition which went astray out of Christian worship tradition and do not examine it as a liturgical subject. To the end, the study will take three steps focused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ecumenism in Pentecostal worship, and its contribution to worship renewal and church unity. First, it examines the origin of liturgical ecumenism in Pentecostal movement in earlier period, focused on ecumenical spirituality. Second, it deals with the contents and forms of liturgical ecumenism and its influences on many liturgical traditions. Lastly, it suggests ways in which liturgical ecumenism in Pentecostal churches may contribute a possibility to achieve both worship renewal and church unity to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