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60년 사역 기간을 통해 한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성령운동가 중의 한 사람인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을 분석하는 일이다. 많은 이들이 언급해 온 바와 같이, 영산의 성령에 대한 신앙과 사역을 간과하고서는 한국교회의 성령운동 역사를 적절하게 정의 내릴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앞으로 한국교회의 밝은 영적 미래를 위해 고민하는 목회자들과 신학자들 모두에게 유익한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본다.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에 관한 연구도 여러 가지 방법론이 제시될 수 있겠지만, 필자는 그의 생애의 연대기적 접근을 따라 그의 사상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연구 방법에 관해서, 필자는 그의 영성 형성의 세 가지 요소들을 소개하였다; 그가 서 있었던 한반도의 사회-정치적 배경, 그가 영향 받아 온 재래적 심성, 그리고 그에게 영향을 준 외국 목회자들과 오순절 선교사들의 성령론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요소가 함께 조합하여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을 탄생시켰다. 마찬가지로 이 세 가지 요소의 변화는 조 목사의 성령론의 변화와 발전을 가져온 요인이다. 필자는 한국교회 성령운동의 역사를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해방 전후 시대, 근대화 시대, 그리고 세계화 시대가 그것이다. 각 시대는 나름대로의 사회-종교적인 그리고 성령론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의심할 바 없이, 각 시대는 조 목사의 신앙에 각각 나름대로의 영향을 주었고, 그의 이론은 어느 정도씩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 논문의 주안점은 조 목사의 성령론이 결코 불변의 것이 될 수 없었다는 점이다. 60여 년의 긴 사역 전체를 통해, 그의 교리는 각기 다른 시대의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필자는 성령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그의 전 생애에 걸친 사역을 구분할 수 있을지를 조사하였다. 결론으로는, 조 목사의 성령론은 각 시대의 여러 가지 요인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점, 그리고 그의 교리는 한국 성령운동가의 대표적 모델로서 각각 다른 시대 속의 영적 요청들을 반영해 왔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neumatology of Rev. Youngsan Yonggi Cho who has been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piritual leaders in Korea during his sixty years ministry. As many have said, we may not appropriately define the history of spiritual movement of Korean Church unless we first examine his faith and works on the Holy Spirit. Accordingly,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all studious pastors and theologians who pant for the bright future of Korean spirituality. The writer has especially focused on the shift of his thought by using the chronological approach to his life, even though there may be a lot of methodologies on his pneumatology. As for the method of study, the writer introduced the three elements of his spiritual formation; the socio-religious background of Korean pennisula in which he stood in, the primitive mentality by which he had also been influenced, and the pneumatology of foreign pastors and of pentecostal missionaries that had influence on him. Each factor worked together and gave birth to Cho’s pneumatology. Likewise, the changes of these three elements existent in the different periods have been combined together to work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his pneumatology. The writer divided the history of spiritual movement of Korean Church into three periods; the Pre and After Liberation period, the Modernization period, and the Globalization period. Each period has its own socio-religious and pneumatological characteristic. Without doubt, each period has different influence on Cho’s faith, and his theory should be somewhat shifted. The major point of this paper is that Cho’s theory of pneumatology could not have been unchangeable. Throughout the long 60 years ministry, his theory should be affected by different essences in each different period. The writer examined how his ministries could be classified throughout his lifetime from a pneumatological perspective. As a conclusion, the writer placed great emphasis upon that Cho’s pneumatology could not have been escapable from every factor in each period, and that he has reflected the spiritual needs of each different period as the representative model of Korean spiritual lea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