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영화는 지난 2012년 이후 3년 연속 1억 누적 관객을 동원하며, 천만 관객이 넘는 ‘메가히트’ 영화를 매년 제작하고 있다. 여기서 ‘천만’이라는 관객수는 인구통계학적으로나 비교문화학적으로 대단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이러한 관객 동원은 곧 영화의 영향력을 짐작케 한다. 본 연구는 성공한 영화의 ‘흥행성’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선행 연구를 통해 ‘흥행’, ‘천만’ 영화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파악했고, 그 과정에서 세 편의 천만 사극 영화를 기준으로 흥행 영화를 분석했다. 또한 ‘대중화 코드’와 대중의 공감에 주목해, 그들의 집단적 감정을 자극하는 이야기를 흥행의 전제 조건으로 설정했다. 즉, 본 연구의 의의는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 영화의 매력 요인을 분석, 대중성을 갖춘 흥행영화의 공통적 이야기 코드와 그 전략을 파악함에 있다. 방법론으로는 사극 영화 분석을 위한 스토리 분류 체계 모델을 제시해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했다. 이에 대중들이 반복적으로 소구하는 이야기의 원형적 요소에 주목해,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헬퍼의 205개 모티프 분류 체계’를 참고했다. 동시에 ‘문화재 이야기 자원의 분류 체계’를 함께 참고해 사극이라는 특수한 장르의 주제 분류를 더욱 세분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인물 관계망에 따른 인물 분석과, 시퀀스에 따른 사건 · 배경 분석을 각각 진행해 세 편의 사극영화의 구조를 정밀히 분석했다. 앞선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세 편의 사극 영화에 내재된 공통 코드를 정리하고, 스토리텔링 전략에 대해 제언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파악한 사극 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왕조사관이 아닌 민중사관에 입각한 상상력으로써 접근하며 둘째, 평범한 소시민적 영웅을 내세우고, 셋째, 계급의식 및 권위의식의 전복, 마지막으로 현실과의 연관성을 유지하며 동시에 민중에의 접근을 강조한다. 동시에 특수 모티프를 적절히 활용해 소재의 차별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전략화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극에 적합한 스토리 분류 체계를 제시하고, 해당 모델에 맞게 영화를 분석한 논문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특징을 도출해 영화 기획의 단계에서 문화콘텐츠적인 통찰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Korean cinema has drawn over 0.1 billion viewers for the last three years since 2012, producing ‘meg


The Korean cinema has drawn over 0.1 billion viewers for the last three years since 2012, producing ‘mega-hit’ films recording over ten million viewers every year. Here, the number ‘ten million’ is a very high figure both demographically and cross-culturally, which indicates the influence of films. This study starts from the ‘popularity’ of successful films. Existing studies related to popular films were examin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during the process, three popular Korean historical films were analyzed. In addition, stories stimulating emotions of the public were set as the precondition of popularity focusing on the ‘popularization code’ and people’s sympathy.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charm of films in the aspect of storytelling, and grasp the common story code and related strategies of popular films. For methodology, a model of story classification system for analyzing historical films was suggested to rais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To this end, ‘Story helper’s classification system of 205 motifs’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prototype elements of stories repeatedly told by people. At the same tim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resources of cultural stories’ was examined to classify the themes of the special genre, historical drama, more in detail. Based on it, a charac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 relational network and an incident/backgrou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closely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three historical fil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ommon code included in the three historical films was arranged and the storytelling strategy was suggested.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the historical films grasp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storytelling strategy, first, approaches with imagination based on the public view of history, not on the dynastic view of history, second, displays ordinary petty bourgeois heroes, third, shows subversion of class consciousness and authority consciousness, and lastly, maintains the relationship with the reality and emphasizes the approach to the public. In addition, it properly utilizes special motifs and emphasizes the differentiation of materials.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suggested the story classification system appropriate for historical drama and analyzed fil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genre.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enetrating into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stage of planning after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