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경제난 이후 벌어진 시장화 개혁과 그에 따라 구성된 통치담론의 한 단면을 포착하고 그 성격을 규명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상주의론과 조합주의, 가산제라는 개념과 이론을 각각 도입하여 북한의 국가전략과 통치체제를 규정한다. 그리고 북한의 국가전략과 통치체제의 성격은 시대에 따라 조합주의적 중상주의로부터 가산제적 중상주의로 변화했다고 보고 그에 따라 ‘반자본주의’ 통치담론이 어떤 내용과 형식으로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분석대상으로 삼은 텍스트는 북한의 내부 강연제강 자료였으며 자본주의를 ‘질병’으로 은유하는 담론전략이 주요하게 포착되었다. 결론적으로 ‘질병의 은유’는 자본주의에 대한 공포와 혐오를 체화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북한의 변화가 내적인 변질로까지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담론전략임을 밝힌다.


This study aims not only to grasp the post-economic difficulty of reformation of marketization and its consequent phase of governing discourse, but also to inquire into it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mercantilism, corporatism and patrimonialism are respectively introduced to define national strategy and ruling system of North Korea.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national strategy and ruling system have been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times, from corporatist mercantilism into patrimonialist mercantilism, this study will inquire about the composition of content and form of the governing discourse of “anti-capitalism” accordingly. The text as a subject of analysis corresponds to materials of internal lecture script of North Korea, in which the metaphor of capitalism as a “disease” is mainly detected. In conclusion, the “metaphor of disease” is designed to accumulate fear and hatred of capitalism, in addition, this metaphor reveals that it is a discourse strategy for preventing North Korea’s change from proceeding toward internal alt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