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현대 한국의 대장장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대장장이의 역사를 현존 유물과 문헌상의 제도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이와 함께 현대 무형문화재로서의 대장장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금속을 처음 다루기 시작한 시대의 대장장이는 금속의 채광과 제련 및 금속기의 제작을 모두 담당하는 광범위한 개념의 존재였다. 그러나 삼국시대 이후부터 채광과 제련의 1차 공정과 제강 및 기타 철기 제작의 2차 공정은 분업화되었으며, 대장장이는 관영수공업 체계 아래에서 작업을 진행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철 생산과 수급은 鐵所라는 행정구역에서 담당했으며, 철기의 제작은 중앙 관청에 소속된 장인과 민간의 장인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도 철의 생산과 수급은 철 생산지에 설치된 鐵場에서 담당했지만, 철 생산이 점차 민영화되어 사영 제철소와 장인들이 증가하였다. 관청의 철기 제작은 외공장과 경공장에 소속된 鑄匠, 水鐵匠, 冶匠, 鍊匠, 鉛鐵匠 등 제작공정별로 분화된 관영수공업자들이 담당했으나, 조선 후기에 관영수공업체계가 붕괴되면서 각 지역의 야장들은 단조철기를 제작하는 각 지역의 대장간으로 변화된다. 근대 서양식 산업기술의 전래 이후, 각 지역의 대장간들은 기계를 도입하여 전통적인 협업체계가 붕괴되었다. 그러나 단조 철기 제작기술은 지역별로 대장장이들에 의해서 일부 계승되었으며, 이 중에는 지역의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주조 철기를 제작하는 수철장에 해당하는 제주도의 불미공예, 단조 철기를 제작하는 충청남도의 대장장과 충청북도의 야장 등이 있다. 앞으로 이들의 지정문화재로서의 명칭 재고 및 관리 체제 정비, 이들이 가진 전통 기술에 대한 과학적 조사, 다른 지역 대장장이와의 관계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In this paper, I surveyed on Korean Blacksmith "Daejangjangyi", in terms of its historical meaning and modern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Korea. In the early human history, the Blacksmith worked in the whole process of smelting iron and making iron objects. However their works were divided and specialized into the process of mining, smelting, forging and casting. After the three Kingdom period, the iron product system was mostly controlled by the state. In Goryo dynasty, the process for smelting and distribution of Iron materials was done in the special administrative district called "Cheolso (鐵所)". However other iron products related with making wares, tools, arms were processed either by the state controlled blacksmiths or by private blacksmiths. The system of iron product was transmitted into Joseon dynasty, while more elaborately developed than in Goryo. However,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due to the collapse of the state controlled system, those masters previously belonging to the state had to work in private for their own livelihoo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odern western industrial product system on iron smelting and manufacturing was introduced to Korea. Therefore the traditional process of Iron product depending on human labor and handicrafts totally collapsed and was replaced by the modern machines. At present, a few craftsmen still preserve the traditional handicraft skills and only three of them such as ‘Bulmigongye' and ‘Yajang’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the province by local governments. We should try to study more on them and to pass down their traditional skills in the modern scientific and sociological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