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0세기 전후 ‘호시체제에서 시박사체제로’라는 동아시아 교역시스템의 변동 속에서 그 외연에 있는 내륙도시의 동향에 대하여 舊都 長安이 포함되어 있는 陝西 京兆府의 戶口실태와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호시체제시기 중국의 戶口는 전체적으로 증가하였고, 또 북방지역이 중심이었다. 이 시기 京兆府가 속한 州(道․路․省)와 경조부의 호구수의 비율을 보면, 주(도․로․성)는 전체의 약10% 내외였고, 경조부는 주(도․로․성)의 약50∼60%였다. 시박사체제시기의 戶口는 五代의 급격한 감소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시기 京兆府의 인구는 五代에서 北宋 徽宗 崇寧 원년(1102)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金․元代는 격감하였다. 시박사체제시기 陝西 지역 전체의 호구수에서 경조부의 그것이 차지하는 비율은, 州(道․路․省)는 전체의 약5∼6%로서(최하는 원대의 0.6%) 호시체제시기보다 비중이 약5% 정도 감소하였다. 호시체제시기 인구이동은 唐과 주변지역 간의 이동이 중심이었다. 여기에는 ‘내륙[陸域]권’으로 대표되는 호시체제시기의 특징이 집약되어 있다. 이 시기는 정치․경제의 중심이 내륙[陸域]권’에 있었다(육로경제권). 따라서 이 시기 대외교역은 육상루트(실크로드)에 초점이 두어져 있었다. 이러한 호시체제시기 唐에 들어와서 적극적으로 교역활동에 종사한 것이 商胡로 불리는 소그드인이었다. 이들의 주된 활동무대는 長安을 포함한 京兆府 지역이었다. 시박사체제시기(10세기 초∼13세기) 경조부의 인구는 戰爭移民(五代)과 饑饉流民(北宋 초) 등에 의한 유출이 일반적이었고, 유입된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그 결과 경조부지역의 호구는 감소하였다. 宋金·宋元대치시기 陝西 지역은 매년 대규모 전쟁이 진행됨으로써 그 중심부에 있던 京兆府 지역은 流民이 대량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이 지역의 戶口는 급속히 감소하였다. 또한 이 시기 京兆府의 인구감소는 상업의 쇠퇴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이를 잘 나타내주는 것이 이 시기 주변 이민족, 그 가운데 외래상인의 유입이 거의 보이지 않는 점이다. 이 시기에는 육로무역이 쇠퇴하고 그 대신 海路를 통한 商船무역이 발전하였다. 해로를 통해 유입된 海商의 주된 활동지역은 廣州․楊洲․泉州 등 해항도시였다. 이에 따라 국가전반의 시스템도 해상교역체제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長安을 포함한 京兆府 지역은 급격하게 쇠퇴하였고, 인구도 지속적으로 南遷하였다.


The household in China entirely increased and the northern area was centered. under the period of Hosi system which was between the early of 7th century and the middle of 8th century. The density of population in Kungjobu area including Jangan were high. In the transition period, which meant the shift from Hosi System to that of Sibaksa, the mid 8th century~the early 10th century, the number of entire household in China rapidly decreased, moreover, the household of Kungjobu were also on the decline. During Tang and Odae period under the Sibaksa system, the entire number of household in China fell off sharply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The number of household during the periods of Northern Song, Southern Song(Keum), and Won dynasty constantly and gently increased. Moreover, compared to the number of household in Southern and Northern area, Southern area overtook Northern area when it came to the period from Odae to the early of Northern Song. In case of Kungjobu's household number under the Sibaksa system, that of Northern Song period decreased, that of Southern Song period was obscure, and that of Kum ․ Won period sharply decreased. Under the Sibaksa system period, the entire number of household of Sumseo area, the occupying rate of Kungjobu household's number recorded a decrease of about 5 % compared to that of household under the Hosi system period. During Hosi system period, the movement of population to a place were important between Tang and the peripheral area. Here, the characteristics of landroute economic power were integrated, which were essential under the Hosi system period. During this time,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were in the center of landroute economic power. So, the mainstream of foreign trade were the SilkRoad when Sogd actively did trade business in the areas of Jangan and Kungjobu. Under Sibaksa system period, Kungjobu, the number of household decreased because of the increase of migrants for emigration in wartime and poverty. During the confrontation period between Song and Kem and that of period between Song and Won, massive wars happened in Sumseo area every year so that in Kungjobu area a large scale of migrants occurred, who moved to the south. Therefore, the number of household rapidly decreased in Kongjobu area. During Sibaksa system period, the decrease of household's number were related to the decline of commerce. During this time, the influx the population of different ethnic groups, especially foreign traders, hadn't appeared. Under Sibaksa system period, a landlord route trade were in a decline, however, a sea route trade were largely developed centering a round of seaport cities. Thus, the government general systems were operated with sea trade systems. At this circumstance, Kungjobu area including Jangan dramatically decreased and the population of the area moved to the so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