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탈식민주의 담론은 1990년대부터 라틴아메리카에서 전개된 서구 근대성에 대한 비판 담론으로, 월터 미뇰로, 아니발 키하노, 엔리케 두셀이 그 담론을 이끌고 있다. 이 담론은 식민성을 근대성의 이면 가치로 설정했고, 근대 세계체계의 원동력으로 권력의 식민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 글은 세 가지 목표를 갖고 있다. 첫째, 탈식민주의 담론을 라틴아메리카의 지성사 흐름에서 파악한다. 탈식민주의자들의 문제의식은 라틴아메리카인들이 경험한 근대성이 유럽인들이 설명한 그것과 다르다는 데에 있었고, 이런 인식은 1960년대에 제시된 종속이론과 식민주의 담론과 같은 종류의 것이었다. 둘째, 이 글은 탈식민주의 담론이 제시한 근대성 개념을 상술한다. 인도 출신의 학자들이 주도하는 포스트식민주의 담론에서는 프랑스 혁명을 전후한 시기가 근대성이 형성된 시기로 다루어지며, 18세기 서유럽이 경험한 특수한 현상들이 근대성의 전형으로 제시되는 반면, 탈식민주의 담론은 근대성의 시작을 스페인령 아메리카의 탄생과 연결시킨다. 셋째, 탈식민주의의 관점에서 서술된 글로벌 히스토리를 소개한다. 유럽중심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시도로서 다양한 형태의 글로벌 히스토리가 제시되는 가운데, 이 연구자들이 근대 세계사를 해석한 방식은 우리에게도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traces a intellectual history of the decolonial discourse of Latin American scholars, mainly Walter Mignolo, Aníbal Quijano, and Erique Dussel. This intellectuals have criticized the concept of Western modernity, because this idea covered the darker side of coloniality. I have three kinds of purposes in this article. First of all, I map the decolonial discourse on the Latin American intellectual history. The issue raised by these intellectuals was that modernity as experience was different from modernity as European rhetoric in Latin America. This consciousness was equal to that of the Dependency theory and the Colonial discourse of 1960s. Secondly, I elaborate the concept of modernity/coloniality presented by these scholars. While the postcolonial discourse of Indian scholars have grasped that modernity was formed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the decolonial discourse insist that modernity was built in Iberian peninsular at the 1492. Finally, I introduce a global history written by these scholars. Many historians have suggested various kinds of global histories as attempt to go beyond Eurocentrism, and decolonial global history will be meaningful to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