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적 이해에 대한 ‘다른’ 방식들과의 대화를 거부하는 유럽중심주의적 인간주의들과 달리 다양한 제3세계 투쟁들은 인간적 존엄과 해방의 정치학에 있어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켰다. 그것은 인간(적 윤리)에 대한 맹목적인 옹호나 거부를 경계하고 ‘횡단’과 ‘번역’에 바탕한 새로운 인간주의적 희망을 마련해주었다. 횡단과 번역의 역사성은 기존의 가치들을 평가절하하기 보다는 그것들을 재사유 혹은 제대로 사유하도록 돕는다. 우연성, 이질성, 혼종성에 바탕하여 인간적 조건을 심문하는 것은 서구적 진보, 우월, 자기도취의 신화를 파열하고 세계 내 인간적 지위에 대한 본질적으로 달라진 인식과 지각을 불러일으킨다. 번역불가능하고 동화불가능한 차이들 자체, 곧 완벽하고 절대적인 재현이나 이해의 실패는 수많은 이분법들을 해체하고 횡단하는 교차인식론적 대화를 가능케 한다. 보다 광대하고 개방적인 민중 해방의 과제에 사명을 두고 있는 만큼 반식민 인간주의의 유산들은 궁극적으로 인종, 젠더, 동성애, 계급, 가난, 지역, 환경 등 전지구 민중들의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다층적인 정치적 스펙트럼과 만난다. 그리하여 반식민주의적 사명은 오늘날 전지구에 드리운 불의, 불평등, 착취, 억압, 강제의 조건들을 변혁시키려는 초국적 민중주의 정치학의 토양으로서 자리매김한다. 물론 그 생명력은 그 어떤 이론적 강조도 아닌 피억압자들의 절박한 현실 경험과 그들에 대한 공감으로부터 온다. 특히 ‘아래로부터’ 그리고 ‘중층적으로’ 수행되어온 포스트식민 페미니스트들의 ‘지구지역적’ 저항들은 오늘날 서발턴 민중들의 실제적 삶이 지역, 국민-국가, 전지구적 층위들 간의 다층적 권력 관계에 노출되고 있음을 반증한다. 요컨대 점점 더 위로부터 지배하고 지구화하려는 세력들에 맞서 아래로부터 움직이는 전지구화에 요청되는 것은 지역, 국민-국가, 전지구 간을 횡단하고 번역하는 유연한 정치적 상상력이다. 오늘날 더욱 협력적으로 되어 가는 초국가적 네트워크들은 포스트식민 학문 분야 안팎에서 초국적 민중 해방의 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끌어 갈 것이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트랜스로컬’ 연대들은 지역, 국민-국가, 전지구적 층위들 간에 발생하는 겹겹의 중심주의적․식민주의적 공모들에 눈감지 않고, 중심과 주변, 지역과 전지구, 식민주의자와 피지배 민중 ‘사이’에서 다양한 번역의 지점들을 발견하고 매개하도록 도울 것이다.


Unlike the Eurocentric humanisms that refuse to have a dialog with ‘other’ ways of human understanding, various global struggles of the third world had a revolutionary effect in human life and its politics of liberation. From a perspective of transculturation and translation, new ‘postcolonial’ humanism will not only rewrite the five hundred-year history of coloniality but also actively put the western history and culture in the processes of (re)translation to (re)valuate western knowledge structures and assumptions. It will summon all the subjects and objects to the history of difference and hybridity rather than to historical totalization and homogenization and in the new historical mixture which gives prominence to mutually creative actions, ‘other’ positive human understandings will be generated. And this anti-colonial humanist struggles to transform the conditions of injustice, inequality, exploitation, suppression, compulsion prevalent over the globe can be theorized through the populist politics of ‘tricontinental postcolonialism.’ ‘Tricontinental counter-modernity’ empowers the African, Asian and Latin American historial, cultural experiences which had long been silenced by the violent and repressive history of the West. And it is based on drawing radical thoughts about non-subordinate and non-instrumental humanitarian expectations from those realities. Of course, tricontinental postcolonialism does not join the established hierarchy of class, race, sex, region by simply focusing on the spatial movement or transference outside the West like the South or the third world regions. In counteracting the western humanism's masculine, racist and mono-topic mechanism which underlies its universality of exclusion and repression, tricontinental postcolonialism is based on the unforeseeably complex and multilayerd subaltern-political spectrum including race, gender, homosexuality, class, the anti-colonial, poverty, disease, environment, resource, development. Particularly, with the acceleration of global capital including the reorganization of nation-states, the subaltern lives today are placed in the historical intersections where glocal conflicts overlap beyond their exclusive local boundaries. For this, postcolonial politics of transculturation and translation wants to investigate critically how specific markers are made from those multiple power/resistance relations around local lives without ignoring the given contexts, especially the discursive and institutional historicity. If we are insensitive to those aspects, the global world will be recognized as a kind of ahistorical playground and so just vague emphasis on the ‘transnational mobility’ will substitute more practical alternatives. Then, pains imposed on the disempowered of the globe would be concealed, let alone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and change. In this situation,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 and coloniality is continuously important. But this does not mean that new postcolonial politics' socialist awareness of the contemporary global situation returns to the dependent and subordinate global history. Instead, postcolonial politics of transculturation and translation will arm itself against the danger of another Eurocentric, reductionist universality from simply identifying globalization with capitalistic and ideological domination from the narrow view of western modernity while espousing political, economical, technical, cultural heterogeneity of gloc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