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80년대 이후 과학 현상에 대한 이해에서 논쟁적인 연구 프로그램으로 떠오른 과학지식사회학이 처한 문제점을 대칭과 구성이라는 개념으로 제기한다. 필자는 과학지식사회학이 대칭적 방법론을 강조하지만 대칭을 순수하게 기술적으로 이해해야 하는지 규범적으로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취하고 있지 않으며,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각각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과학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는 입장은 종종 경험적 사례연구에서 인과적 요인을 선택적으로 부각시키거나 특정 서술방식을 택함으로써 과학지식 형성과정의 인과 구조의 전체 모습을 올바르게 그려내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맥키의 INUS 조건에 대한 분석을 적용하여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과학지식사회학의 정치사회적 의의를 살리기 위해서도 과학지식의 구성적 성격에 대한 주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I discuss the crucial problems of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SSK), which has risen since 1980s as an influential and controversial research program in STS. My analysis focuses on their two essential features, symmetry and construction. I claim that SSK is not clear about how to understand their self-claimed 'symmetrical' method. I show that SSK faces serious difficulties no matter how we read their 'symmetry', either in a purely descriptive way or in a normative way as well. I also argue that the constructive method of SSK turns out to be not persuasive as it seems in many impressive case studies. It is because the actual implementations of symmetry tend to select only social factors while ignoring other significant epistemic factors in their descriptions of how scientific controversies are closed, or place the social factors at the end of their analysis in order to make them look salient. I employ Mackie's INUS condition analysis of causation to discuss this problem. Lastly I claim that SSK should weaken their claim about the constructiv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if they want to keep the politico-social significance of S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