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 필자는 도덕에 대한 신의 뜻의 우선성을 주장하는 신학적 주의주의의 한 버전인 애덤즈의 신명론을 검토하고 반박을 시도한다. 애덤즈는 신과 인간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신의 명령이라는 언어 행위에 의하여 인간에게 도덕적 의무가 부여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신의 명령에 의하여 인간에게 지워지는 의무를 ‘도덕적’ 의무라고 할 수 있나 하는 의문을 차치하더라도, 애덤즈의 이와 같은 주장은 신이 도덕적 의무를 부과함에 있어서 상위의 규범에 의존하게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덤즈는 신에 대한 복종을 명하는 도덕적 규범의 존재를 주장하거나 신의 명령이 도덕적 의무를 구성하도록 하는 신의 의지를 도입할 수 있는데, 두 방법 모두 철학적 메타윤리이론으로서 신명론을 옹호하기 위해 취할 만한 것은 아니다. 한편 애덤즈가 신의 의지 이론에 대하여 제시하는 두 가지 비판 중 하나는 신의 의지 이론이 아닌 자신의 신명론의 문제를 드러내고, 또 다른 하나는 신의 의지에 대한 단순하고 편협한 이해에서 비롯된 설득력이 없는 지적이다. 필자의 논의가 적절하다면 신명론을 옹호하는 애덤즈의 논증은 실패했으며, 신학적 주의주의의 성공은 신의 의지 이론을 선택함으로써 모색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I critically examine divine command theory of Adams, a version of theological voluntarism which argues for the priority of God's commands or will over moral obligations. Adams' theory that ethical wrongness is the property of being contrary to the command of loving God is based on the analogy of God's obligation- generating activity and human's. However, this makes God's obligation-generating activity depends on the contingent fact of the existence of the higher rule which renders God's commands to constitute or yield moral obligations. To solve this problem, Adams may try to make his theory either a normative theory by asserting human's universal obligation to obey God or a divine will theory by referring to God's will, neither of which is very desirable for Adams to defend his divine command theory. Also, one objection that he raises to divine will theory brings a serious problem to his own theory and the other has no persuasive power by being based on a poor understanding of God's will. If my argument succeeds, it shows the success of theological voluntarism should be pursued by adopting divine will theory rather than divine command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