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한국 전래동화의 내용적, 형식적 특징 및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훈의 전달 방식 및 과정을 살펴보고, 나아가 전래동화가 지닌 교육적 기능과 의의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 전래동화는 내용상으로 볼 때, 선과 악, 초자연적 힘이 필수적으로 등장하며, 갈등과 고난을 극복하고 행복한 결말을 맞게 되는 해피엔딩의 전형적 줄거리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선과 악, 초자연적 힘은 각각 도덕적 가치의 표상과 근거를 상징하는 것으로, 그리고 기본 줄거리의 전개 과정은 도덕적 가치를 삶의 보편법칙으로 내면화시키는 과정으로서 설명하였다. 이어, 한국 전래동화는 형식상 이야기의 구연이라는 일반적 특징을 갖고 있다. 이야기라는 형식은 상황 중심의 구체적 맥락을 통해 도덕적 가치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이 이야기는 구연을 통해 교훈 전달 효과가 극대화된다. 구연활동은 구체적 상황에 동반되는 정서적 맥락까지 전달함으로써 한국 전래동화의 교훈성을 보다 총체적으로 전달하도록 돕는 기능을 하게 된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국 전래동화의 내용과 형식이 지닌 구조적 패턴을 교훈성을 전달하는 하나의 체계적 구조로서 간주하고, 그것이 지닌 교육적 기능과 의미를 전통 소학교육(小學敎育)과의 관련 하에서 논의하여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ducational meaning for Korean folk tales. Korean folk stories, fundamentally have educational function and meaning. First, it may be said that the contents of Korean folk stories necessarily related to virtuous, vice and supernatural power. These three factors represent moral value and authority. Second, Korean folk tales are orally narrated fairy tales. This point said that two context of situation and emotion fundamentally served an educational purpose, it maximize Korean folk stories’ instructive effectiveness. Lastly, in this study, Korean folk tales’ form and content are regard to an organized structu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it's educational function and meaning related to moral education for child in traditional society of Korea.


本論文的目的在于以韓國傳來童話的內容上、形式上的特徵爲中心考察敎訓性傳達方式與過程, 進而探討其敎育功能和意味。首先, 韓國傳來童話的典型的特徵, 分爲內容要素和形式要素。比如說, 善與惡的對立、超自然的力量、葛藤與艱難、克己、善的勝利、幸福的結束等, 都屬于典型的內容要素。在此, 就顯示出善惡、超自然的力量就意味着道德價値的表象與根據, 故事情節是把道德的價値內化爲人生普遍法則。接着, 故事所帶來的具體脈絡及故事口演, 都屬于韓國傳來童話的形式要素。具體脈絡本質上表現種種情況, 進而故事口演更加强化脈絡的具體性, 卽表現出情況帶來的活生生的感情。 綜之, 本論文把韓國傳來童話所具有的內容上、形式上的典刑性看作爲傳達敎訓性的有體系性的構造, 通過韓國傳來童話與傳統小學敎育的比較, 說明其敎育意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