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간은 단순하게 인간이 점유한 삶의 터전을 뛰어넘어 인간의 삶을 구획하고 지배하는 특성을 표상한다.『나마스테』는 ‘신우’와 ‘카밀’이 각각 미국과 한국에서 외국인으로 살아가면서 소외되고 타자화되는 과정을 병치시키면서 한국의 이주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배타적 편견과 비인간적 차별에 대해 고발하고 있다. 작품 속 인물들이 살아가는 수도권 변방은 한국의 중심부로부터 소외된 일종의 타자화된 공간이다. 이곳은 이주노동자들 뿐만 아니라 한국인 공장 노동자들도 그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열악한 노동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삶의 공간이기도 하다. ‘신우’는 네팔 청년 ‘카밀’을 만나 사랑을 키우면서 타자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주노동자들의 연이은 자살사건은 ‘카밀’을 비롯한 이주노동자들에게 ‘농성장’이라는 공간에 모여 자신들의 문제를 사회구조적 모순으로 인식하게 하고 ‘생각하는 힘’을 키우게 되는 계기가 된다. 특히 이주노동자뿐만 아니라 한국의 하위주체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는 등 공동체 의식이 발현되고 있는 것은 탈타자화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현실의 장벽 앞에서 ‘카밀’이 ‘호텔 옥상’에서 자살을 선택함으로써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The space presents the property dominating and planning human life beyond the living space of human. 'Sinwoo' and 'Kamil' from 『Namaste』juxtaposed the isolation and othernization as foreigner in Korea and USA so it claims the inhumane discrimination and exclusive prejudice that guest workers experience in Korea. The border capital area where the characters live in the literature is a kind of othernized space isolated from the center area of Korea. Here, it is also the life area that Korean factory workers as well as quest workers live in poor working environment not quite different with them. 'Sinwoo' meets a young man from Nepal 'Kamil' and falls into love, overcomes the othernization, have hope for new life. However, the series of suicide of quest workers raises the 'power of thought' to quest workers including 'Kamil' by recognizing their problem as a contradiction of social structure while they gather together at 'sit-in-space'. Particularly, as well as for quest workers, the generation of community recognition like interest about lower classes of Korea is showing what is the real meaning of anti-othernization. However, with these efforts, the suicide of 'Kamil' at the 'roof of Hotel' in front of their reality with unsolved problem conclude sad e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