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디펙터 인터랙티브>는 탈북 여성을 다룬 다큐멘터리 <더 디펙터:이스케이프 프롬 노스코리아>를 디지털 매체에서 인터랙티브 기술을 활용하여 변용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이다. <더 디펙터:이스케이프 프롬 노스코리아>는 그 간의 매체적 재현과는 달리 탈북 여성을 탈북의 주체로 두었으며, <디펙터 인터랙티브>는 그 영상들을 재배치하여 관객이 주체가 되어 탈북 여성으로서의 체험을 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펙터 인터랙티브>가 어떻게 관객을 참여시켜 메시지를 전달하는지 살펴보았다. 다큐멘터리의 영상서사는 중국에서 탈북여성들을 만나 그들이 한국으로 올 때까지의 경험을 순차적으로 재현한다. 그러나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서는 게임성을 차용, 북한에서 탈출하는 것부터 게임의 퀘스트처럼 참여하도록 한다. 스테이지나 맵 등 상호작용적 기능들은 관객이 어드벤처 게임의 플레이어처럼 인지하고 행동하게 한다. 그러나 관객은 실패를 하게 되어 있으며, 이는 <디펙터 인터랙티브>가 탈북 여성의 현실을 체험시키기 위해 시리어스 게임의 루프형 서사구조를 차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디펙터 인터랙티브>는 원래의 다큐멘터리가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관객들이 수동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넘어 적극적으로, 또 감성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가 보다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메시지를 체험시키기 위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서사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fector Interactive> that was adapted from <The Defector: Escape from North Korea> documentary by using interactive technology in digital media. <The Defector: Escape from North Korea> shows independent women defectors, and it’s different representation on past media. And <The Defector Interactive> reassigns images of documentary to give experience for audience to be an women defector. This paper researched how the audience participates to <The Defector Interactive> and involve the message. The narrative of documentary represents two women defectors’s experience in serial order from China. However, the interactive documentary let the audience participate to defect from North Korea like the quest of game. By using stages and maps, the audience could be recognized himself as a player of an adventure game. But the audience is doomed to fail, becaus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Defector Interactive> is loop-type structure of serious game for giving experience the reality of women defectors. So it gives an active and sensitive experience for audience beyond watching passively.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develop the structure of interactive documentary for involving message to audience effectively.